简体 | 正體 | 대법서적

주이스를 강화한 약간의 깨달음

글/ 중국 대법제자

[밍후이왕] 아주 오랜 기간 나는 계속 한 층차에 처하여 돌파하지 못하다가 주이스를 강화할 때 나는 그 속에서 수많은 것을 돌파했다. 나는 최근의 수련과정을 써내어 여러분과 교류하려고 한다.

1. 법리로 수련을 지도하다

나는 최근 2년 동안 계속 법을 외우고 있었고 그 속에서 수많은 법리를 보았는데 확실히 법을 외우는 단맛을 보았으며 또한 나의 수련에 기초를 다졌다. 매번 문제에 부딪히거나 관을 넘을 때 나는 머릿속에 대응되는 법을 찾았고 법으로 수련을 지도했다. 예를 들어 생활 속에서 각 방면에서 모두 참음이 필요했고 수련자로서 이 층차에서 참음의 최고 경지는 무엇인지 나는 법에서 답안을 찾았다. “참음(忍)은 心性(씬씽)을 제고하는 관건이다. 화가 나 원망하고, 억울해하면서 눈물을 머금고 참는 것은 속인이 해를 입을까 염려하는 참음이다. 화를 내거나 원망함이 전혀 생기지 않으며 억울함을 느끼지 않는 것이야말로 수련자의 참음이다.”[1] 사존께서는 우리에게 어떠한 심태에 도달해야 비로소 화를 내지 않고 원망하며 억울해하지 않는다고 하셨는가? 나는 법 속에서 답안을 찾았다. “한 수련인으로서 금후의 인생행로는 개변될 것이며, 나의 법신이 당신에게 새롭게 안배해 줄 것이다.”[2]

나는 우리 수련인이 부딪힌 일체는 모두 사존께서 오묘하게 배치해주신 것이고 모두 제자를 성취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걸 깨달았다. 매번 모순에 부딪힐 때 신속하게 마음 상태를 바로 잡아야 하고 관념을 바꾸고 담담하게 마주해야 한다. 예를 들어 우리 집의 착즙기를 아이가 조작할 줄 몰라서 망가뜨렸다. 만약 이 일이 전에 발생했다면 나는 자연스럽게 화를 내며 원망했을 것이며, 너는 마땅히 이렇게 사용해야 하고 그렇게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했을 것이다. 장기간 형성된 원망하기 좋아하는 이런 사유 시스템이 한번 오가게 된다. 지금은 이렇게 하지 않는다. 나의 머릿속에서 곧바로 법에서 이 방면의 나에 대한 요구를 찾았다. 이는 사부님께서 나에게 배치해주신 제고해야 할 기회가 아닌가? 나는 반드시 잘할 것이고 원망하려는 이 사유를 갖지 않을 것이다. 나는 묵묵히 원망하는 사유를 누르고 아주 평온하게 딸에게 말했다. “네가 잘못 사용한 거 아니니?” 아이도 아주 평온하게 미안해하며 쓰는 방법을 몰랐다고 말했다. 가정의 분쟁은 아주 평온하게 지나갔다.

심성을 수련하는 면에서 나는 기본적으로 법의 요구에 따라 행했고 비록 간혹 잘못했지만 지나고 나서 모두 자신의 마음 상태를 조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나는 늘 각자(覺者)와 거리가 아주 멀고 멀어서 닿을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2. 주이스를 강화하여 주이스가 대뇌를 통제하게 하다

법공부할 때 연공할 때 나는 늘 딴생각을 했다. 비록 법리는 아주 명확하지만 자신의 허튼 생각을 늘 억제할 수 없었다. 나는 반드시 주이스를 강화해야 함을 의식했다. 한 각자의 주이스는 마땅히 어떠한 상태일까?

사존께서는 ‘전법륜’에서 그와 네다섯 분의 지극히 높은 대각자, 대도와 함께 있었던 정경을 말씀하셨다(나는 사존께서 법 속에서 말씀하신 예는 모두 제자의 수련을 지도하는 것이라고 깨달았다). 나는 그 속에서 아주 높은 경지로 수련했을 때의 마음은 마땅히 빈 것이고 무위적인 것으로 깨달았다. 나는 침대에 누워서 내가 지금 자신에게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도록 요구했다. 사상이 도망가기만 하면 나는 도로 잡아 올 것이다(지금은 의식하기로는 그래도 그것을 멸해서 죽여야 했다). 사상이 고도로 집중되자 손바닥에서 땀이 났다. 바로 이렇게 거의 한 시간 견지했다. 저녁에 나는 한 남자가 물속에 빠져서 죽는 꿈을 꾸었다. 이때 물이 빠져나갔고 한 여자가 그의 곁에 누워서 역시 죽어 있었다. 그리고 한 여자가 그 남자의 곁에서 통곡하면서 말했다. “나는 당신을 떠날 수 없어요.” 꿈에서 깨어난 후 나는 나의 공간장에서 일부 좋지 못한 생명을 제거했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아직도 좋지 못한 생명들이 있었고 아울러 나의 사유와 연관되어 있다. 나는 마땅히 주이스를 강화하는 데에 공력을 들여야 했다. 왜냐하면 이 방면에서 문제가 있기에 나는 유의적으로 주이스를 강화하는 법을 찾아야 했다. 예를 들어 “主意識(주이스)가 강해야 한다”, “누가 연공(煉功)하면 누가 공(功)을 얻는다”[2] “의념” 등이다. 나는 반드시 나의 주이스가 대뇌를 통제하게 해야 함을 깨달았다.

내가 이런 소원이 있자 사존께서는 나에게 마음을 닦는 일을 배치해주셨다.

어느 하루 나는 갑자기 맞은 편 층집의 창문에 반짝거리는 물체를 발견했고 카메라라고 의심했는데 그 두려움은 자기 집 마루에서 무엇을 해도 부자연스럽고 아침부터 저녁까지 모두 그 음영이 지워지지 않았으며 밖에서 걸어 다녀도 늘 의심스러운 사람이 나를 미행하는 것 같았다. 나는 나에게 문제가 있음을 알았고 나는 마땅히 이 의심을 철저히 닦아야 했다.

의심은 사람마다 모두 있을 수 있는 것이다. 한 사람이 갓 태어나서는 아무 관념도 없고 아주 순정하고 또 사물의 시비를 판단할 능력이 없다. 천천히 후천적 관념이 개입하면서 일부 일들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집의 탁자에 10위안(약 1700원)이 사라졌으면 마음속으로 십중팔구는 아들이 가져갔을 것으로 생각하는데 당신이 보았는가. 아니다. 판단한 것이다. 경찰의 의심은 더욱 강할 것인데 왜냐하면 직업상 사건을 판단할 때 모든 일에서 민감하게 의문을 품을 수 있어서 의심이 더욱더 강하다. 아울러 이런 후천적으로 형성된 사유 형식은 바로 수련의 장애이고 닦아서 없애야 한다.

인식한 후 나는 공력을 들이기 시작했고 이 의심을 제거하기가 또 쉽지 않았는데 그것은 늘 현실적인 일로 당신을 끌고 가고 당신이 생각하게 하고 의심하게 하며 그 사유통로 속에 들어가게 한다. 이렇게 무거운 사상의심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좋지 않아 뽑아내야 한다. 나는 ‘전법륜’ “주이스가 강해야 한다” 단락을 외웠으며 사부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나 대다수 사람은 가히 아주 강한 주관사상[主意識(주이스)가 강함]으로 그것을 배제(排除)할 수 있으며 그것을 반대할 수 있다. 이렇다면 이 사람은 제도할 수 있음을 설명하는데, 좋고 나쁨을 가려낼 수 있다. 즉 오성(悟性)이 좋으면, 나의 법신이 도와서 대부분의 이런 사상업을 없애버릴 수 있다. 이런 정황을 비교적 많이 볼 수 있다. 일단 나타나면 자신이 이 나쁜 사상과 싸워 이길 수 있는가 없는가를 본다. 견정(堅定)할 수 있는 사람은 업을 없앨 수 있다.”[2] 나는 발정념을 했고 단호하게 의심을 멸해버렸으며 나는 그 의심의 사유통로에 들어가지 않았는데 나는 사상만 갖지 어떠한 의념도 없었다. 바로 이렇게 몇 차례 청리한 후 나는 다시 그 의심의 사유통로로 들어가 보려고 했을 때 마치 한 개의 병풍이 가로막고 있는 듯 들어갈 수 없었고 생각할 수 없었다. 그 이틀 동안 마음속은 비어 있었고 마치 아무것도 생각나지 않는 것 같았다. 사부님께서 말씀하셨다. “아주 높은 층차의 수련은 의념활동이 전혀 없다.”[2] 사부님께서는 또 말씀하셨다. “나한은 마땅히 무위(無爲)이며, 마음이 움직이지 않아야 하는데,”[2] 나는 이런 법의 일부 내포를 체험하게 되었고 나중에 나는 맞은편 층집의 그 반짝이는 물체가 그의 집 현관문에 구멍이 있어서 조성된 것임을 발견했다. 사존께서 나에게 의심을 닦아서 없애게 한 과정을 배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의심을 닦아서 제거하는 과정을 통하여 나와 한 수련생 사이에 우리의 소통을 가로막는 벽이 넘어지는 것을 느꼈다. 사실 나는 법에 대해 더 깊은 깨달음이 있게 되었다.

사부님께서 말씀하셨다. “아주 높은 층차의 수련은 의념활동이 전혀 없다.”[2] 그럼 우리가 평소에 모든 사람의 의념활동은 모두 마땅히 있지 말아야 한다(우리가 아직도 사람들 속에 있기에 여전히 법을 실증해야 하며 최대한도로 가서 행해야 한다). 이를 깨닫고 나서 나는 다시 그 모든 망념을 보았다. 일종 한눈에 알아보는 느낌이었고 염두가 나오자 다시 가서 분류할 필요가 없이 이 마음 저 마음이 나왔다. 곧바로 후천적 사유임을 의식할 수 있었는데 왜냐하면 진정한 나는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뛰어 들어가서 아주 마음을 써서 좋고 나쁨을 분간할 필요가 없이 곧바로 그것을 잡을 수 있었고 즉시 강대한 정념을 내보내어 그것을 해체할 수 있었다. 그다음 최대한 가장 짧은 시간 내에 사상을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는 텅 빈 아무 의념이 없는 상태로 조정했다. 나는 당신이 속인 속에서 기초를 다지는 층차일 때는 아주 높은 층차에서의 의념활동이 없는 능력을 구비할 수 없으므로 오로지 기초를 잘 닦아야 비로소 된다고 깨달았다. 그래서 심성을 닦는 이 기초를 잘 닦아야 하고 매번 일에 부딪혔을 때 반드시 법에서 인식하고 법리로 수련을 지도하고 사람의 사유를 점차적으로 신의 사유로 바꾸어야 한다. 고달프게 가서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법의 힘이 없으면 아주 힘들기에 반드시 법공부를 많이 해야 한다.

내가 이런 것을 막 깨달았을 때 큰 시험이 왔다. 의심에 질투가 같이 왔고 이유 없이 남편이 외도했다고 의심했다. 그 의심과 질투는 시시각각 머릿속에서 들끓었고 마음이 번잡하게 만들었는데 상태가 흐트러졌다. 그것을 향해 발정념했고 청리한 후 염두가 움직이기만 하면 또 그 사유통로에 들어가서 계속 의심하고 질투했는데 하나의 큰 제고할 기회가 왔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벗어나지 못했고 정말 방법이 없었다.

어느 하루 아침에 이런 상태가 또 발작했고 나는 내가 최근에 깨달은 것에 따라 행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나는 곧 발정념했고 철저히 뿌리에서 이런 타락한 사유를 해체했고 이런 사유통로를 제거했다. 나는 그 사유통로로 들어가지 않았고 나의 주이스는 나의 대뇌를 통제했고 나의 대뇌는 한 개의 플랫폼과 같았고 이 플랫폼은 현재 마땅히 텅 비어야 하고 누구도 올라가면 안 되는데 누가 올라가기만 하면 나는 그것을 폭파했다. 머리에 다른 사유가 생기기만 하면 나는 곧 그것을 폭파했다. 나는 나의 머릿속에 아무것도 생각하지 못하도록 유지했고 바로 이렇게 대략 반 시간을 견지했다. 나는 그러한 상태에서 나왔고 머리가 더는 허튼 생각을 하지 않았고 나는 최대한 자신의 대뇌가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겠다는 상태를 유지했다. 현실 속에서 이런 가정 모순은 신속하게 해결되었다.

사존께서 ‘2019년 뉴욕법회 설법’에서 말씀하신 그 마약을 흡입하는 예처럼, 마약을 흡입하지 않으면 그 독의 영체는 굶어 죽는데 흡입하고서 다시 끊는다고 생각해보면 그것은 다소 어렵다. 그 때문에 평소에 최대한 자신의 주이스를 통제하여 대뇌가 아무것도 생각하지 못하게 해야 하고 그러한 후천적 관념을 억제하고 그것들을 제약하고 그것들이 발작할 기회를 주지 말아야 하는데 그것들이 굶어 죽을 때까지 계속해야 한다.

사존께서 법 속에서 여러 번 말씀하셨다. “우리는 단번에 아주 높은 층차에서 연마(煉)하며,”[2] 아주 높은 층차에 있는 수련자는 마땅히 무슨 상태여야 하는가? 우리는 여기에 사존께서 단번에 우리를 제 위치에 올려주셨고 아울러 수많은 것을 주셨다. 이는 사존께서 말씀하신 “반수”와 아주 유사한데 사실 사존께서 법 속에 말씀하신 예는 모두 제자더러 깨달으라고 하신 것이다. 그 “반수” 모두 무슨 상태인가? “반수”, 우선 심성이 높아야 함을 요구하고 그다음은 공능이 있는 것이다. 사존께서는 설법 속에서 여러 차례 우리 대법제자는 공능이 있다고 말씀하셨다.

나에게는 우울증 이 집착심을 제거한 심득이 있다. 나의 성격은 비교적 내성적이고 거기에 장기간 박해당하는 처지에 있어서 나의 사유는 수시로 이유 모르게 우울해졌다. 이런 상태가 올 때 나의 정서는 아주 저조하고 가슴이 답답했다. 매번 이런 정서가 올 때 나는 사존의 관련 법을 외웠다. 반년이 지나서 이런 상태가 기본적으로 없어졌다. 최근 이런 상태가 또 왔고 나는 아주 자연스럽게 직접 올라가서 멸해버렸고 이 증상은 아주 빨리 사라졌다. 나는 내가 점차적으로 사악을 멸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깨달았다. “나의 법신(法身)은 당신 스스로 당신 자신을 보호할 수 있을 때까지 줄곧 보호해 준다.”[2]

제자는 사존께 감사드립니다!

약간의 깨달음이고 층차의 제한으로 적절치 못한 곳은 수련생들이 시정해주시기 바란다.

주:
[1] 리훙쯔(李洪志) 사부님 저작: ‘정진요지-무엇을 참음이라고 하는가’
[2] 리훙쯔 사부님 저작: ‘전법륜’
[3] 리훙쯔 사부님 저작: ‘미국중부법회 설법’

 

원문발표: 2020324
문장분류: 수련교류
원문위치: http://www.minghui.org/mh/articles/2020/3/24/402888.html

ⓒ 2024 명혜망.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