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친 정에 대한 집착을 내려놓아야 한다
글/ 춘전(純眞)
[밍후이왕] 자녀는 빚이 없으면 오지 않는다고 옛사람이 말하는 것을 늘 들었다. 그 뜻은 사람의 자녀는 전생에 자신과 매우 큰 인연을 맺어 다음 생에 와서 끝을 보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사람은 빚을 받으러 온 것이고 어떤 사람은 빚을 갚으러 온 것이라는 것이다. 이 이치는 ‘봉신연의’ 중에 아주 생생하게 표현되어 있다.
나타를 말하자면 그는 원래 영주(霊珠)의 변신이고 이정 집에서 환생하고 천상변화에 따라 살생계가 끝나기를 기다렸다. 그러나 나타는 개구쟁이고 법력이 있어 이정에게 적지 않은 화근을 가져다주었다. 후에 나타가 용왕의 셋째 아들을 죽이는 바람에 그와 이정 부자간의 관계가 철저히 악화되었고 결국 나타는 자신의 살을 발라내어 아버지에게 돌려주고 뼈를 발라내어 어머니에게 돌려줌으로써 이정 부부가 그를 낳아주고 키워준 은혜를 갚은 것으로 했다. 그러나 후에 이정은 나타가 절간을 지어 그의 영혼을 봉양하는 것을 보고 나타는 백성들에게 봉양될 자격이 없다며 나타의 소상을 부숴버리고 나타의 절간을 태워버려 나타는 주인 없는 영혼이 되었다. 이정의 이 행위는 철저히 나타를 격노시켰기 때문에, 비로소 후에 나타가 태을진인이 연꽃에 금단(金丹)을 넣어 나타를 부활시켰는데 부활하자마자 제일 먼저 이정을 죽이고 복수하려고 했다.
이정이 어찌 나타의 상대가 되겠는가, 후에 연등도인(燃燈道人)이 이정을 구해주었고 그에게 영롱 보탑을 주며 전문적으로 나타를 제압하게 했다. 그래서 나타는 감히 경솔하지 못하고 이정과 표면적 부자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정이 언제나 보탑을 들고 다니는 것을 늘 볼 수 있다. ‘탑을 든 이천왕(托塔李天王)’의 칭호도 여기에서 유래된 것이다. ‘서유기’에서도 서술했다. 어느 날 이정이 보탑을 들지 않았는데 나타를 보자 좀 두려워했다. 나타가 와서 복수하는 것을 두려워한 것이다.
이로 봐서 인간 세상에서 사실 그 어떤 영원히 변하지 않은 관계와 감정은 없다. 자녀와의 관계도 포함된다. 인연 때문에 온 이상 마땅히 순리를 따르고 너무 집착하고 함부로 행동해서는 안 된다.
부모로서 자녀가 자신의 전부라고 생각하고 일생을 쏟아부어 자녀를 위해 희생하고 분투하여 자신의 인생가치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결과가 헛수고가 될지도 모른다. 자손은 자손의 복이 있다고 한다. 지나친 사랑과 희생은 어떤 때는 결과가 바라는 것과 정반대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어떤 의미에서 말하면 사람은 모두 역사의 긴 강물 속에서 생생세세 윤회하므로 자녀는 수없이 많다. 이생의 자녀는 다음 생의 적이 될 수도 있고 인연을 다 끝내면 각자 가고 서로의 관계가 없다. 이런 길지 않은 관계와 온정하지 않은 감정을 위해 자신의 인생 의미를 소홀히 한다면 정말로 가치가 있는 것인가? 이것은 자신은 자녀를 위해 살고 자녀를 이상으로, 사업으로, 생명으로 생각하는 부모에 대해 말하는 것이다.
다른 한 부류는 전통 가부장제도의 영향을 받아 자녀를 자신의 작품처럼 설계하고 만드는 부모다. 언제나 온갖 심혈을 기울여 자녀의 인생을 조종하고 배치하려고 하며 자녀의 일생을 완전하게 설계해놓고 크고 작은 일을 전부 도맡아 하려고 한다. 자신을 힘들게 만들뿐만 아니라 마지막에 언제나 ‘생걱정’이다. 사람은 그의 운명이 있는 이상, 그럼 매 사람의 일생은 고급 생명이 다 배치한 것인데 어찌 부모가 마음대로 배치하게 하겠는가, 하물며 부모가 강제로 자녀가 하기 싫은 일을 하게 강요한다면 자녀 마음의 저촉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암암리에 업력을 쌓을 수도 있고 다음 생에 또 갚아야 한다.
그럼 자녀로서 빚 때문에 온 이상 마땅히 선량한 마음과 감사의 마음을 늘 가지고 부모님께 효도하고 빨리 빚을 끝내야 한다. 빚을 진 사람은 부모님을 잘 모시고 시간을 다그쳐 빚을 갚아야 한다. 빚을 받으러 온 사람은 많이 받으면 오히려 또 빚을 갚아야 하는 사람으로 되기 때문에 너무 사치하고 날뛰어서는 안 된다.
한마디로 말해서 부모는 손을 놓고 자식을 존중할 줄 알아야 하고 자녀는 감사와 효도할 줄 알아야 하며, 지금 인간 세상 중 하나의 평형과 평화 관계를 유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개인의 인식이니 수련인이 삼가 참고하길 바란다.
원문발표: 2016년 11월 15일
문장분류: 수련마당>정법수련마당>이성인식
원문위치: http://www.minghui.org/mh/articles/2016/11/15/33769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