简体 | 正體 | 대법서적

사람의 사상과 인식에서 벗어나 신을 향해 나아가다(1)

-결속되지 않은 것은 시간문제가 아니라 구도받은 사람이 너무 적기 때문-

글/ 중국 대법제자

[밍후이왕] 많은 수련생은 정법이 끝날 수 있다는 것을 믿지 않거나 사부님께서 말씀하신 일부 다른 내용을 믿지 않는다. 한 가지 문제를 우리 모든 대법제자가 모두 명확하게 알고 있는지 모르겠다. 끝나지 않은 것은 시간문제가 아니라 구도받은 사람이 너무 적고 많은 대법제자가 아직 걸어 나오지 못하고 전력을 다해 사람을 구해 조사정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법 수련을 20여 년 했는데 오늘 속으로부터 제일 말하고 싶은 말을 수련생들에게 하고 싶다. 주요하게 내가 인식한 사람에서 걸어 나오는 표준을 나누어 서로 촉진하고 굽은 길을 적게 걷고 하루빨리 법에서 승화하고 사람 표면을 돌파하고 모든 것을 가지고 가려는 데 있다.

초기에 법을 얻어 위로 수련하기 시작해 간고한 노력, 착실한 수련, 각종 욕망과 집착심을 제거해 높은 층차로 수련하고 더 높은 데로 진입했다. 매 한 단계를 어떻게 승화하고 어떻게 수련하여 올라가고 다음 또 곤두박질하고 또 위로 수련하면서 반복해서 위로 수련했다. 이 과정은 모두 눈에 선하며 명백하다.

쓰젠파(世間法) 수련 과정에서 여러 차례 공이 나오고 여러 차례 또 떨어진 것은 자신이 일부 속인 집착이 너무 중해 수련해 올라가지 못했기 때문이다.

추쓰젠파(出世間法)에서 반복하여 위로 수련하는 과정 중에도 곤두박질해 떨어지는 것은 자신이 사람의 많은 집착을 닦아버렸지만 자심생마의 교란을 받았기 때문이다.

1. 진정하게 법을 잘 배우고 심성을 착실하게 닦다

“법을 더 많이 배워야 하는바, 그렇지 않으면 眞(쩐)·善(싼)·忍(런)의 부동한 층차의 내포를 당신은 모를 것이며 진정으로 쩐·싼·런에 따라 해낼 방법이 없다.” [1]

내가 말하려는 것은 이렇게 많은 해를 수련하면서 자신의 사람 표면은 정말 ‘쩐, 싼, 런의 부동한 층차 내포’를 모른다는 점이다. 수련 중에 주위 수련생들도 이전에 아무도 모르는 것 같고 아무도 이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다. 우리 많은 수련인은 사실 이 ‘대법’을 깊이 배우지 못했다. 정말 배우지 못했다. 그렇지 않으면 반복해서 곤두박질하지 않았을 것이며 ‘구세력’이 이렇게 여러 해 동안 우리 수련에 나타난 사람 마음을 겨냥하여 이렇게 많은 일을 만들어내지 않았을 것이며 우리에게 그렇게 많은 고난을 만들어내지 않았을 것이다. 늘 사람 마음이 있고 늘 성숙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중 원인은 하나뿐이다. 고층차의 법을 잘 배우지 못한 것이다.

개인 수련원만의 표준은 우리가 조사정법하고 용맹정진, 원만으로 향하는 기초이다. 심성 표준은 조금도 낮출 수 없다. 반드시 자신을 잘 수련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난이 많다.

예를 들면 개인적으로 착실하게 수련하는 과정 중 몇 년이란 시간을 들여서야 한 층차의 것을 보았다. 그동안 제일 중요한 몇 가지 방면은:

(1) 마음 닦고 욕구를 끊어야 한다. 색욕은 반드시 닦아버려야 하며 완전히 닦아야 한다. 평소 이 방면의 생각이 조금도 없이 내려놓아야 하며 조금도 정을 움직이지 않고 순정함을 유지해야 한다. 어떤 수련생이 떨어진 것 역시 이 방면 마음이 또 일어났기 때문이다. 사존님 신변에 있는 제자, 션윈 수련생의 표준은 무엇인가? 아마 많은 수련생이 모를 것이다. 바로 중생 구도, 조사정법 중에서 반드시 표준에 도달하고 자신을 순정하게 하는 것이다.

(2) 수련 중에 난과 고비에 부딪혔을 때, 장기간 닦아버리지 못해 생겨난 원망하는 마음을 닦아버렸다. 이는 신으로 향해 가는 아주 중요한 표준이다. 많은 수련생 역시 이 방면을 닦아버리지 못했다. 물론 더 깊은 층의 원인은 수련생마다 다 같지 않다.

(3) 수련 중에 고생을 겪고 마음을 닦아 업을 없애고 흉금이 평탄해야 한다. 수련 중에 속인이 이득을 챙기는 일이 너무 많고 직장에서도 거의 매일 있다. 다른 사람이 싫어하는 일이나 원래 그들이 할 일을 늘 나에게 맡겨도 나는 아무 원망의 말도 없이 몇 년 동안 했더니 수련해 지나갔다.

(4) 평소엔 법공부, 연공, 심성을 닦고 직장 일을 한다. 속인의 많은 집착심과 애호를 모두 내려놓았다. 사람과 사람 사이 인연 관계를 간섭하지 않아 업을 짓지 않았다. 이렇게 하니 사상도 순정해져 거의 아무 생각도 없었다.

바로 착실하게 심성을 닦아 층차를 결정하는 공이 있어야 승화해 올라갈 수 있으며 본체에 강대한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무엇으로 법을 실증하겠는가? 또한, 이것이 바로 사람 표준에서 벗어나는 것이고 고층차로 수련하는 법리이다. 착실하게 수련하지 않으면 그런 마음을 닦아버릴 수 없고 중생구도 중에 교란과 어려움을 받게 된다.

(5) 고층차 수련에서 ‘자심생마’ 문제를 주의해야 한다. 이 방면의 법리를 모르면 절대로 무엇이 ‘무위’ 상태인지를 모른다.

일정한 정도로 수련한 후 이 방면 교란이 아주 크다. 공능에 많이 집착하게 된다. 들리는 것에 집착하거나 천목으로 일부 것을 본 수련생, 나를 포함하여 많이 곤두박질해 떨어졌다.

어떤 수련생은 천목으로 본 것 혹은 다른 사람이 천목으로 본 것을 지도로 삼아 일부 일을 처리한다. 사존께서는 설법에서 여러 차례 이 문제를 말씀하셨다. 사실 우리가 냉정하게 생각해보면 사람 표면이 운용하는 것이 불법 신통이 아닌가? 아니라면 육신에 나타난 공능이 무슨 작용을 일으키겠는가? 그럼 또 무슨 집착할 것이 있겠는가? 정말 이런 것을 내려놓아야 하며 두뇌는 반드시 명석해야 한다.

수련인은 자심생마 이 방면 시련도 아주 많다. 어떤 대법제자는 갑자기 천목으로 본인 속인 중의 친인에게 위험이 닥친 것을 본다. 온몸이 불에 타는 등을 보면 얼른 발정념하여 청리해 준다. 지난 후에도 자아 감각이 양호해 하며 주동적으로 그 속인 중의 친인과 연계한다. 후에 다른 수련생이 사람 속에 떨어진 것이라고 귀띔해주었다. 속인 중의 일을 우리 수련인은 상관할 수 없다. 이는 자심생마로 인한 교란이니 상관하지 말아야 한다.

또 어떤 수련생은 천목으로 일부 변화된 정경을 본다. 본인이 고대 어느 왕조 시기에 한 주관이었는데 후에 한 사람을 죽였다. 마지막에 그녀에게 알려준다. 당신은 지금 소업하면서 감당해야 한다. 이 수련생은 그것을 승인하여 마지막에 병업 상태로 돌아갔다.

이 방면 사례가 아주 많다. 법에서 수련하지 않으면 이런 것이 우릴 교란하며 우린 그것을 부정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무엇을 보아도 정말 마음이 흔들리지 말아야 한다. 마음을 움직이면 그런 것이 장기간 우리 수련인에게 영향을 준다.

그중에는 이전에 구세력의 배치가 있고 또 고층차에서 온 고험도 있다. 법에 대한 우리 수련인의 인식, 이해 정도를 고험하고 우리가 이 교란을 돌파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본다. 물론 일부 저층차의 교란도 있다.

많은 수련생은 닦아낸 부분을 갈라낸 상태도 아주 많다. 하지만 모두 같지 않은 층차에서 수련하는 것이며 모두 사람 신체 표면을 돌파하지 못했고 사람 표면엔 여전히 불법 신통이 나오지 않았다. 발정념할 때 수련을 잘한 부분, 갈라져 표준에 도달한 그 일면이 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절대 자신의 수련을 느슨히 해서는 안 된다. 개인 심성 수련의 기초를 낮춰서는 안 되며 순정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고난이 커지며 왜 고난이 있는지도 모르게 된다.

(6) 수구 문제

많은 수련생이 수구를 중시하지 않는다. 늘 다른 사람이 수련을 잘했는지 못했는지를 질책하면서 업을 지어 고난이 나타난 것이다. 사실 일부 사람 마음을 닦아버리지 못해 ‘무위’의 내포와 표준이 무엇인지를 깨닫지 못한 것이다.

우리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나에게 좋다고 하든 나쁘다고 하든 모두 마음에 두지 않고 마음을 움직이지 않으면 우리가 다른 사람의 좋고 나쁜, 옳고 그름을 질책하는 것은 아무것도 아니지 않은가? 마음이 사람 중에 있으면 역시 유위이며 마음이 움직인 것이다. 물론 수련생 혹은 정법 수련에 책임지는 각도에서 선의의 귀띔을 하여 법에서 승화해 올라오는 것은 된다. 이것이 바로 정념이며 자비이다. 수련생이 깨달으면 깨닫는 것이고 도저히 깨닫지 못하면 포기하고 그것에 마음을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 아예 질책할 필요가 없다. 그가 아직 깨닫지 못했기 때문에 아직 사람 속에서 승화해 올라오지 않았기 때문에 본인은 계속 ‘무위’ 상태에서 위로 수련하면 된다.

또 어떤 수련생은 자기에 대한 다른 수련생의 견해에 집착하고 다른 사람 수련의 좋고 나쁨에 집착한다. 사실 모두 수련 중인 사람이지 신이 아니다. 수련생이 당신을 좋게 보든 나쁘게 보든 마음에 둘 필요가 없다. 의의가 없다. 다른 사람이 개공(開功)했다 해도 그 사람이 본인의 수련과정을 다 걸었을 뿐 나보다 층차가 높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런 것에 전혀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7) 1999년 7·20 후 걸어 나와 베이징에 가 대법을 수호할 때 사고를 거쳐 마땅히 걸어 나와야 한다고 생각했다. 마음은 평탄했고 속인 것에 전혀 이끌리지 않았다. (명·리·정을 모두 내려놓았음) 하지만 시간을 내어 가족에게 내가 왜 베이징에 가 정황을 반영하고 텔레비전에서 방송한 ‘대법’ 비방한 내용, 어떤 것이 가짜인지를 말했다. (세인이 이해할 수 있게 착한 마음, 언어와 도리로 그들에게 진상을 알려야 한다)

걸어 나오는 과정에 어떤 땐 고생을 겪고 자유를 잃으면 억울하고 원망하는 마음이 올라오지만 바로 심태를 조정하고 평소와 같이 무위 상태를 유지하면서 속인의 몰이해에 마음을 움직이지 않았다. 이렇게 수련하여 점점 나도 모르는 사이에 계속 제고됐고 많은 중생을 구도했으며 같지 않은 층차에서의 법의 표현을 보았고 또 사존께서 대법제자를 위해 하신 많은 일과 배치를 보았다.

고층차 수련은 모두 무위이다. 고층차 중 자비 심태와 상태는 무슨 좋지 않은 일에 부딪혔다고 해서 움직이는 것이 아니고 누가 나를 좋다고 하든 나쁘다고 하든 전혀 마음을 움직이지 않으며 속인의 몰이해 혹은 인간 세상 사회 형세 변화에 마음을 움직이지 않고, 늘 자상하고 자비로운 심태를 유지하고 영원히 그렇게 하는 것이다. 물론 마음이 움직였을 때 자신을 보아야 한다. 무슨 원인 때문에 마음이 움직여 불평, 고민, 화를 내고 있는지?

더 높은 층차에서 인식하면 사실 고민하고 화를 내는 것은 마성이다. 정말 이 각도에서 수련을 이해하면 수련인의 심태는 이끌리지 않을 것이다. 정서에 영향 주었을 때 바로 자신을 파악하지 못해 마성이 나왔다는 것을 알고 빨리 심태를 조정할 수 있다.

고층차 중의 자비 상태를 알면 중생 구도를 더 잘할 수 있다. 사실 많은 수련생이 이 상태를 알고 있는데 사람 표면 사유에서 자신의 깨달음을 총화하지 않았을 뿐이다.

이 층차에까지 돌파하면 진상 알리기에 일부 변화가 생긴다. 인간 세상에서 관념이 아주 중하고 개변하기 몹시 어려운 사람도 우리가 수련상태를 돌파하면 그들도 변한다.

예를 두 개 들겠다. 나의 외삼촌은 노 공산당원이며 일정한 문화가 있다. 몇 년 전 그에게 진상을 알렸을 때 그는 전혀 듣지 않았는데 이번에 또 그에게 진상을 알렸을 때 그는 여전히 3퇴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때 나는 전혀 마음을 움직이지 않았고 심태에도 전혀 변화가 없이 자상한 심태를 유지하고 계속 그에게 말했다. 공산당의 몇 대 지도자들이 매 일대는 무엇을 말했습니까? 그들이 말한 것은 우리 중화 민족 몇천 년 동안의 전통문화 내포, 도덕과 이념을 완전히 위배하고 상반된 것이 아닙니까? 이렇게 뜻밖에 그는 주동적으로 가명으로 3퇴하겠다고 대답했다. 이튿날 직장에 출근해서 스스로 탈당 절차를 밟을 줄은 생각지도 못했다. 이는 자비로움은 정말 중생을 각성하게 하고 명석, 선과 악을 똑똑히 구분하여 구도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또 한 번은 잘 아는 속인의 집에서 한 속인을 만났다. 그는 아주 자부했다. 공산 사당도 눈에 차 하지 않았고 대법제자에 대해서도 너무 바보스럽다, 참긴 뭐 참는가? 고 말했다. 그때에도 나는 이끌리지 않았다. 그가 말한 것만 일리가 있는 것 같았지만, 도저히 말이 귀에 들어가지 않아 나는 더 말하지 않고 웃고 말았다. 정서는 전혀 이끌리지 않았고 여전히 자상했다. 후에 밥을 먹고 집으로 돌아가면서 역에서 차를 기다리면서 그와 헤어질 때 그는 갑자기 나의 손을 잡으면서 나에게 탈퇴시켜달라고 말했다. 바로 우리의 자비가 세인을 개변시킨 것이다. 그의 배후 요소가 대법제자를 선택한 것이다.

고층차 심성 수련 표준과 법리를 반드시 알아야 한다. 자신의 사상 중에 그런 강렬한 사상 의식이 있어야 한다. 정말 사상이 그렇게 똑똑한 인식이 있어야 고층차 표준, 무위 상태가 무엇인지를 깨달을 수 있으며 사람 표면에 미혹되지 않고 신으로 향해 갈 수 있고 세인을 구도함에 속인에게 이끌리지 않게 되고 속인의 일시적인 표현에 마음이 전혀 움직이지 않고 우리 심태에 영향 주지 못할 것이다. 우리는 자비로 세인을 구도하는 것이고 혼탁한 세상의 금광이며 신의 길을 걷고 있는 생명이다. 우린 정말 무엇이 진정한 불법인지를 알고 있으며 우린 확실히 각성한 생명이다.

이것이 바로 내가 지금 나의 수련 상태에서 깨달은 사람에서 벗어나 신을 향해 가는 법리이다. 심성을 착실하게 닦지 않으면 층차를 결정하는 공이 자라지 않으며 사람 경계에만 머무를 뿐 진정한 수확이 없다. 또 이것저것 생각하면서 다른 사람을 찾아 교류하여 고층차 법리를 알려고 한다.

수련하면서 왜 반복해서 떨어지는가? 바로 법을 잘 배우지 않아 법의 표준을 모르고 고층차 법의 내포가 무엇인지를 깨닫지 못했기 때문이다.

초기 수련할 때 수련생들이 다 아는 것 같이 약간의 말만 하면 깨달았고 수련생들의 심태는 다 좋았다. 지금 아마 박해 요소 때문에 이런 상태가 생겼을 것이다. 마음에 어두운 그림자가 있으므로 심태가 순정하지 못하고 수련생들이 법공부에 법을 얻은 초기와 같은 그런 승화를 감수하지 못한다. 사실 우리 수련은 바로 초기 법을 얻었을 때처럼 낙관적이고 유쾌한 심태를 품어야 한다. 우린 마땅히 낙관적이고 흉금이 평탄해야 하고 의지 견정하게 위로 수련해야 한다. (다음 호에 이음)

주:

[1] 리훙쯔(李洪志) 사부님의 저작: ‘창춘(長春)보도원법회설법’

문장 발표: 2015년 9월 14일
문장 분류: 수련마당>정법수련마당>이성인식
원문 위치: http://www.minghui.org/mh/articles/2015/9/14/315724.html

ⓒ 2025 명혜망.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