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일본 파룬궁수련자
[명혜망] 비록 저는 대법을 얻은 지 20여 년 된 노(老)대법제자이지만, 안으로 찾기에 대해서는 최근 몇 년 사이에 점차 인식하게 됐습니다. 아래에서는 제가 안으로 찾기를 어떻게 하는지, 안으로 찾기에 대한 천박한 인식을 여러분과 법에서 교류하겠습니다.
1. 안으로 찾기를 초보적으로 배우다
저는 1997년에 법을 얻었고, 수련 과정에서 많은 고난과 시험을 겪었습니다. 뒤돌아보니 앞선 10여 년의 수련 중에 진정하게 안으로 찾기를 배우지 못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때는 자신이 안으로 찾는다고 여겼는데, 지금 보니 그때 찾은 것은 너무나 표면적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관(關)에 부딪히면 피상적으로 자신에게 쟁투심이 생겼거나 정(情)이 있다고 여겼을 뿐이었습니다. 마치 집착심에 이름을 붙여 어떤 마음이라고 하면 안으로 찾은 것으로 여겼습니다. 이로 인해 당시에는 아주 표면적으로 수련했고, 많은 관은 반복해도 넘기지 못했으며 수련이 매우 고달프고 힘들었습니다.
나중에 사부님의 배치로 안으로 잘 찾는 수련생과 일대일로 교류하게 됐습니다. 그녀는 매우 자세히 자신이 어떻게 안으로 찾는지 알려줬고, 저는 그 말을 듣고 서둘러 돌아가 안으로 찾아봤습니다. 그때는 ‘마음이 움직였는가’를 하나의 지표로 삼았는데, 자신이 기쁘지 않거나, 마음이 움직이거나, 화가 나기만 하면 바로 자신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제 이해로는 안으로 찾기란 사상 배후의 근원을 찾아내야 합니다. 남들과 갈등이 생길 때 대부분은 자신이 옳다고 여깁니다. 그래서 처음 자신에게 물을 때 먼저 ‘넌 왜 마음이 불편하지?’라고 물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런 자문 후 ‘아, 상대방이 이렇게 잘못해서 내가 기분이 나쁜 거구나’라는 답을 얻게 됩니다.
처음엔 상대방의 잘못, 상대방이 어떻게 잘못했는지에 대해 말하겠지만, 저는 이런 대답은 합격이 아니라고 스스로에게 알려줍니다. 자신이 아무리 이유가 있어도 그건 사람의 이치이며, 수련은 자신을 수련하는 것이지 남을 수련시키는 게 아닙니다.
또 자신에게 물을 수 있습니다. ‘신이 이런 일을 만나면 마음이 움직일까?’
바로 이런 자문 과정이 인념(人念)과 신념(神念)이 끊임없이 교전하는 것인데, 아무리 어려워도 자신을 바꾸겠다는 염두를 확고히 해야 합니다. 수련하려는 마음이 강렬하면 사부님께서 도와주시는 것을 느낄 수 있고, 사상이 점차 맑아지면서 조금씩 마음을 바꿀 수 있으며, 결국 자신의 집착심 때문에 이 관이 촉성됐음을 깨닫게 됩니다. 그러면 문제의 소재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는 가까운 가족에게 함부로 말하곤 했습니다. 저는 가족에게 “아니, 또 이러네? 몇 번이나 말했잖아!” 하면서 상대방이 불쾌해하든 말든 강하게 말하곤 했습니다. 이전에 그 일에 대해 여러 번 말했는데도 상대가 고치지 않았으니 제가 화내는 것이 정당하다고 여겼습니다. 이런 마음의 움직임에 직면해 ‘왜 마음이 불편하지? 만약 내게 집착심이 없다면 그도 그러지 않았을 텐데, 분명 내가 어딘가 잘못한 게 있어서 그도 그러는 걸 거야’라고 스스로에게 말했습니다.
이렇게 스스로 묻고 대답하면서 제가 상대방을 탓하고 무시하는 마음이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한 걸음 더 파고들어 무시하는 마음은 어떤 마음인지를 물으니, 사부님께서 《파룬궁(法輪功)》에서 “질투심이 있는 사람은 남을 얕보고, 남이 자기를 능가하는 것을 허용하지 못하며, 남이 자기보다 더 강한 것을 보면 그의 마음은 평형을 잃고 견디지 못하며 불복한다”라고 하신 말씀이 떠올랐습니다.
결국 남을 업신여기는 것도 질투심에 속함을 알게 됐고, 더 깊이 파고들어 상대방의 생각과 행동이 자신과 다를 때, 즉 상대방이 자신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을 때 상대방을 고치려 든다는 것은 당문화(공산당 문화)임을 깨달았습니다.
이렇게 한 가닥 사람마음이 드러났습니다. 마음이 움직이면 물질 하나가 마음에 나타나 답답함을 느낍니다. 마치 무언가가 마음을 짓누르는 듯합니다. 그리고 이런 마음들을 찾아내 ‘난 그것을 원치 않아! 깨끗이 제거해 버릴 거야!’라고 생각할 때, 시간이 있으면 즉시 정념을 발해 제거하고, 시간이 없어도 ‘나는 수련하려 한다. 이건 내 것이 아니다. 나는 이런 사람마음을 원치 않는다’라고 생각하면서 정법구결을 외웁니다. 그러면 사부님께서 그 물질을 치워주시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는 제가 안으로 찾기를 막 배웠을 때 특별히 뚜렷이 느낀 반응이었습니다.
반복되는 과정에서 사부님의 고심을 진정으로 느꼈습니다. 아마도 제가 이런 상태를 기억하게 하시려고 그런 반응을 느끼게 해주신 것 같습니다. 그 물질이 제거되면 우선 마음이 홀가분해지고 그 물질이 없어진 것을 느낍니다. 마음이 홀가분해질 뿐만 아니라 그때는 정말 매 세포마다 꽃이 활짝 핀 것 같았습니다!
또 한번은 사부님의 법신이 매우 뚜렷이 저를 자비의 경지에 이르게 해주셔서 눈물이 왈칵 쏟아졌고, 정말 중생들이 모두 고생스럽다고 느꼈습니다.
진정으로 안으로 찾기를 배운 후, 처음에는 마음이 움직이면 마치 물질 덩어리가 마음에 있는 것처럼 느껴졌고, 스스로 묻고 대답하면서 사람마음과 집착을 가려내 진아(眞我)와 분리한 뒤 정념으로 제거했습니다. 그러면 사부님께서 그 물질을 치워주시는 것을 느낄 수 있고, 마음을 짓누르던 것이 없어져 홀가분해집니다.
이런 상태가 반복된 후 서서히 안으로 찾기의 전 과정을 진정으로 이해하게 됐습니다. 그래서 많은 수련생이 안으로 찾는 것을 말하지만 사실 꼭 진정으로 할 줄 아는 건 아닙니다. ‘안으로 찾기’는 법리로서 단순한 말이 아니라 실천해야만 체득할 수 있습니다. 수련은 완전히 정신 활동이라 동작처럼 따라 하기만 하면 이해할 수 있는 게 아니라, 스스로 마음을 써서 수련하고 깨달으며 체득해야 합니다. 그리고 최후에 그 업력이 어떻게 없어지는지 느껴야 합니다. 그래야 다음번 관에 부딪혔을 때 그것이 자신이 아님을 진정으로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마음이 움직이는 이유가 바로 그것을 자신으로 여기기 때문 아닙니까? 그것에 이끌려 남들과 갈등이 생기고 화를 내게 됩니다. 이는 아직 그것을 진정으로 인식하지 못했고 여전히 자신의 일부로 여기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은 우리의 마음을 괴롭히는 그것이 사실은 물질이고 생명임을 진정으로 이해하게 합니다.
2. 습관과 집착을 일으키는 관념을 제거하다
우리가 어떤 집착과 관념을 내려놓기 싫어하는 이유는 그 관념이 얼마나 좋지 않은지 깊이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어떤 것이 자신에게 좋지 않다는 걸 진심으로 느껴야만 비로소 마음속에서 우러나와 그것을 버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관념을 찾아냈다면 그것이 수련과 중생 제도에 어떤 해가 있는지 계속 인식해야 합니다. 이렇게 해야 관념을 한 층 더 깊이 인식할 수 있습니다.
좋지 않은 마음과 감정이 들면 수시로 근원을 찾아야 합니다. 그런 마음이 들 때 과감히 직시할 수 있다면 아주 쉽게 볼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때 그것이 마침 표면에 드러나 있기 때문입니다. 붙잡았다면 즉시 배척하고 제거해야 합니다. 드러났을 때가 제거하기 가장 좋은 때이고, 마음이 잠잠해진 후에 다시 찾으려 하면 비교적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화가 나지 않고 감정이 평온할 때는 그 마음이 반응하지 않아 포착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제 느낌에 안으로 찾기도 층차 제고에 따라 단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어느 정도 인식했다면 그곳까지 찾고, 이후 점차 더 깊이 찾아 들어가면 됩니다. 즉 갈수록 더 세밀해집니다.
3. 안으로 찾기의 기제(機制)를 형성하다
안으로 찾기의 기제를 형성하려면 조금이라도 기쁘지 않거나 마음에 들지 않을 때마다 즉시 안으로 찾기를 시작해야 합니다. 마음이 움직일 때마다 안으로 찾을 수 있다면 이 기제가 형성되기 시작한 것입니다. 못한다면 기제를 형성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제가 진정으로 안으로 찾기를 배운 후, 처음에는 마음이 움직이자마자 즉시 자신에게 물었습니다. ‘넌 왜 괴롭지?’ 이런 상태가 습관이 되고 자연스러워지도록 했습니다. 오래도록 이렇게 하면 안으로 찾기의 기제가 자동으로 작동해 스스로 질문을 던지며 주동적으로 안으로 찾기를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안으로 찾기의 기제를 형성하려면 시시각각 자신을 경계해야 하고 경계심을 늦추지 말아야 합니다. 마음이 조금이라도 움직이고 좋지 않은 마음이나 감정 등이 막 싹트기 시작하자마자 즉시 안으로 찾기를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안으로 찾기의 기제를 형성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나쁜 감정도 강화되기 쉽습니다. 그러면 심성을 지키지 못하고 집착심에 이끌려 통제당하게 되어 층차 제고와 수련해 제고하지 못하게 됩니다.
4. 일사일념(一思一念)을 수련하기
우리는 늘 여러 수련생이 일사일념을 닦는다고 말하는 것을 듣습니다. 많은 사람이 이렇게 말하지만, 저는 견실한 수련의 기초가 없다면 사실 해내기가 매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 기초가 아직 다져지지 않았을 때, 자신의 마음이 그 정도까지 깨끗해지지 않았고 분별력도 일정 수준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는, 조금만 어려운 고비를 만나도 아마 자신이 당면한 고비를 넘기는 것에만 힘을 쏟을 수밖에 없을 것이고, 일사일념을 닦는 것은 힘이 부족할 수 있으며, 심지어는 일사일념을 닦는 것조차 생각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면 수련의 기초가 아주 잘 다져진 수련생들은 오랫동안 이렇게 견지할 수 있습니다. 매우 복잡하고 바쁜 상황에서도 여전히 일사일념을 닦을 수 있는데, 이는 이미 안으로 찾기의 기제가 형성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비록 1~2초의 찰나 동안에도 법에 부합하지 않는 생각을 잡아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그 순간에 바로 깨달을 수 있다는 것인데, 만약 깨닫지 못한다면 아마도 아직 거기까지 닦아 올라가지 못한 것입니다. 여전히 착실하게 안으로 찾기부터 시작해야 하며, 그래야 조금씩 수련해 올라갈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일사일념은 어떻게 수련해야 할까요? 무심코 떠오른 생각마저도 그 뒤에 숨겨진 사람마음이 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당신의 주의식이 매우 또렷하고 능동적으로 어떤 일을 생각하고 있지 않은데 어떤 사상이 반영됐다면, 아마도 당신 자신이 생각한 것이 아닐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갑자기 떠오른다면 왜 이 사람이 떠올랐는지 생각해 봐야 하는데, 흔히 그 사람에 대해 불만이 있음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예컨대 얕보거나, 원망하거나 또는 다른 집착하는 마음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마음이 움직이고 마음이 또 움직일 때, 그 생각의 이면에는 모두 사람마음이나 관념이 하나 있는 것이니, 발견했다면 그냥 지나치지 말고 즉시 제거해야 합니다.
맺음말
사부님께서 《북미순회설법》에서 말씀하셨습니다. “당신 개인의 수련은 당신이 대표한 방대한 천체 중의 생명을 구도하는 것이다.”
우리는 진상을 알려 인연 있는 중생을 구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자신을 잘 수련하는 것 역시 자신의 우주 생명을 구하는 것이므로 역시 중요합니다.
이상은 개인의 층차에서 깨달은 것이오니, 법에 맞지 않는 점이 있다면 수련생 여러분께서 자비롭게 지적해주시길 바랍니다.
원문발표: 2024년 5월 8일
문장분류: 수련교류
원문위치:
正體 https://big5.minghui.org/mh/articles/2024/5/8/475899.html
简体 https://www.minghui.org/mh/articles/2024/5/8/47589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