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허베이성 대법제자
[명혜망] 최근 사부님의 신경문과 명혜편집부 글이 잇따라 발표되면서 우리는 갈수록 수련의 엄숙성을 깊이 인식하게 됐다. 수련생들은 칭찬과 자심생마 문제를 많이 토론했는데, 특히 최근 우리 지역의 한 수련생이 이와 관련된 문제가 생긴 후 박해로 세상을 떠나면서 나도 이 문제를 다시 생각해보게 됐다. 그래서 나는 내가 직접 겪은 일을 수련생들과 교류하려 한다.
2014년, 나는 30여 명의 선생님들과 함께 인근 중학교에 새로 배치됐다. 그 학교에서는 매년 한 번씩 공개 수업을 했는데, 학과마다 한 명의 교사가 참여했다. 나는 새로 온 교사여서 공개수업에 지명됐다.
공개수업 때 나는 당시 수업 진도에 맞는 내용을 강의했고 자신 있는 내용을 선택해 따로 준비하지 않았다. 하지만 강의 후 동료 교사들의 칭찬이 쏟아졌다. 선생님들은 내가 말을 똑 부러지게 하고 군더더기 하나 없이 강의했다며 높이 평가했다. 특히 공개수업에 나선 다른 선생님들과 비교되면서 내 수업은 더욱 돋보였다. 그래서 새 학교 선생님들은 모두 내 능력을 칭찬하면서 날 볼 때마다 한두 마디씩 치켜세우는 말을 했다.
나는 원래 내 수업이 그다지 훌륭하지 않았다고 생각했는데, 보는 사람마다 칭찬하고 치켜세우자 서서히 마음이 침식되어 내 수준이 높고 최고라고 생각하게 됐으며, 심지어 공개수업을 했던 그날을 인생에서 ‘최고 멋진 날’이라고 생각했다. 나는 또 원래 내가 그리 잘나지 않았다고 생각했고, 아직 젊기에 배워야 할 것이 많으며 걸어가야 할 길이 멀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과도한 칭찬을 받자 이후로 큰 발전이 없었다.(나는 2015년 말 장쩌민 소송 건으로 박해당해 교직에서 물러나 더 이상 교사로서 노력할 기회가 없었음)
나는 그 일에서 과도한 칭찬이 가져다주는 마음의 변화를 확실히 느꼈는데, 그것이 얼마나 해로운지 알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칭찬을 듣고 자신이 잘났다고 생각하고 대단하다고 생각하면 많은 문제가 나타난다. 1) 그 자리에서 만족하며 더 앞으로 나아가려 하지 않게 된다. 2) 겸손, 신중과 남에 대한 존경심을 잃게 된다. 3) 마음이 쉽게 부풀어 올라 건방지고 잘난 체하게 된다. 4) 남을 깔보고 남을 안중에 두지 않는다. 5) 자기보다 나은 사람을 인정하지 않고 질투심이 생긴다.
수련인끼리 치켜세우면 문제가 더욱 심각해진다. 칭찬받는 수련생은 진상을 잘 알렸거나, 사람을 많이 구했거나, 사악의 박해 앞에서 정념이 강했거나, 자주 밖에서 진상을 알렸지만 끌려간 적이 없는 등 잘한 면이 있는 것은 확실하다. 하지만 한 사람이 치켜세우고 두 사람이 치켜세우면 사부님께서 ‘전법륜(轉法輪)’에서 하신 말씀처럼 “마음을 움직이지 않기가 아주 어렵다.” 따라서 칭찬은 다른 수련생에게 큰 해악을 끼치게 된다. 칭찬을 들은 수련생은 점차 자신을 대단하게 여기고 남보다 낫다고 생각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자심생마의 시작이다.
흔히 자심생마하는 사람은 마음이 조금씩 변해서 그 지경이 되지만 결과는 모두 같다. 그런 사람들은 마음이 붕 떠서 자신의 잘한 면만 보고 다른 면에서도 다 잘한다고 착각하며, 점차 자신의 단점을 보지 못한다. 다른 사람이 그에게 집착심을 지적해줘도 체면과 명성을 추구하는 마음 때문에 숨기려 해서 집착심을 인식하지 못한다. 일부러 숨기는 것이 아니라 정말 자신의 단점을 보지 못하기도 한다. 자만심 때문에 자신이 누구인지 모르고 판단력도 흐려졌기 때문이다. 또 어떤 사람은 자신의 ‘잘 수련된 모습’에 도취되어 집착심을 인정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사악은 쉽게 구실을 대며 박해하는데, 자심생마한 사람들은 사부님을 떠올리지 못하고 법을 떠올리지 못한다. 정념이 잘난 체하는 마성에 미혹돼 작용을 일으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정념이 없으면 엄청난 기세로 밀려오는 시련 앞에서 박해를 부정하지 못하고 해체하지도 못한다. 이때 자비로운 사부님께서는 그를 일깨워주시고, 보호해주시고, 기회도 주시고, 시간도 연장해주신다. 그래도 계속 박해를 부정하지 못하면 난이 길어지는데, 그러면 쉽게 원망심이 나온다. 시련 중에 있는 사람들은 흔히 이렇게 생각한다. ‘내가 그렇게 많은 일을 했고, 그렇게 많은 사람을 구했는데 왜 이런 일이 생기는가?’ 이는 더욱 사악이 박해할 수 있는 구실이 되어 어떤 이는 박해받아 사망에 이른다. 자심생마한 수련생이 박해받아 사망한 근본 원인을 찾아보면 다른 사람들의 과도한 칭찬을 받았기 때문이다.
교훈은 심각하다! 지금 우리 지역의 어떤 수련생은 여전히 자신이 수련을 괜찮게 했다고 생각하며, 어떤 이는 일하는 것을 수련으로 여긴다. 이는 아주 위험하다! 이런 수련생은 자신의 모든 성과와 능력이 모두 사부님과 대법에서 온 것임을 잊었다. 또 남들이 자신을 치켜세우고 칭찬할 때 사부님의 이 말씀을 잊었다. “한 수련자로서 속인 중에서 만나는 일체 고뇌는 다 고비를 넘는 것이고, 만나는 일체 찬양(讚揚)은 다 고험이다.”(정진요지-수련자는 자연히 그중에 있다)
대법제자로서 언제나 사부님을 잊지 말아야 하고 법을 잊지 말아야 한다! 시련이 아무리 거세도 마음속에 사부님과 법이 있으면 정념을 지킨 것이기에 사부님께서 도와주실 수 있다! 수련인은 반드시 절대적으로 사부님을 공경하고 법을 공경해야 한다. 자신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사악이 바로 달려들기 때문이다.
현 단계의 인식이니 잘못된 점은 자비로 지적해주시길 바란다.
원문발표: 2023년 10월 12일
문장분류: 수련교류
원문위치:
正體 https://big5.minghui.org/mh/articles/2023/10/12/467025.html
简体 https://www.minghui.org/mh/articles/2023/10/12/46702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