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중국 대법제자
[밍후이왕] 밍후이왕은 전 세계인들이 파룬따파(法輪大法, 파룬궁)를 잘 알아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매년 ‘세계 파룬따파의 날’ 원고모집을 진행한다. 수련생들은 이 인연을 소중히 여기고 자신이 혜택을 본 실제 경험과 소감을 써서 대법을 실증하길 바란다.
매년 ‘5·13’ 파룬따파의 날을 축하하는 원고가 밍후이왕에 게재된 후, 어떤 사람은 감동해 수련에 들어섰고, 정진하지 못한 수련생도 태만한 상태를 고치려고 노력하기 시작하는 등 매우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 파룬따파의 날을 경축하는 원고가 이렇게 큰 효력을 갖고 있으니 수련의 수혜자로서 약간의 저항심리를 극복하고 심혈을 기울여 기고에 참여해야 한다.
원고모집 통지에 언급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많은 수련생이 공감했을 것이다. 중국의 고압적인 환경에서 일부 수련생은 두려움, 나이가 많다는 등 여러 이유로 집에 숨어서 법을 배우고 연공한다. 하지만 나가서 대면해 진상을 말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심지어 어떤 사람은 진상을 알리고 자료를 배포하러 아예 나오지 않는다.
정법시기 대법제자로서 사명을 다하지 않고 창세주와 맺은 서약을 지키지 않았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우리는 마지막 결말에서 심판과 최종 결과가 있음을 매우 잘 알고 있다.
이 원고모집 기회를 빌려 ‘꾸물거리며 대법과 다른 사람을 위해 사명감과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이 나쁜 상태를 돌파하기 위해 힘을 내자. 법을 배우면서 바로잡고, 대법제자의 책임을 마음으로부터 인식하고, 대법의 무한한 법력을 굳게 믿고, 사부님이 항상 곁에 계심을 믿으며, 대법제자가 이때 가장 잘해야 할 일을 하자.
우리는 사부님께 직접 법을 전수받은 제자로서 대법의 가장 직접적인 수혜자다. 우리가 대법에서 끊임없이 얻기만 하고 대가를 치르지 않는 것이 사부님께서 원하시는 것일까? 사부님께서는 대법제자들이 사부님을 도와 사람을 구하는 사명을 원만하게 완수하기를 원하시고, 전 세계 중생이 대법의 제도를 받아 새로운 우주로 나아가기를 바라신다.
이미 법정인간(法正人間)의 서막이 열린 이 긴박한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정념을 강화하고, 남은 이 시간을 파악해 정신을 차리고 해야 할 일을 잘할 수 있을까?
거의 24년간 사악한 공산당의 피비린내 나는 탄압 속에서 우리는 가시덤불을 헤치고 한 번도 물러서지 않고 끈질기게 대법 진상을 세상 구석구석에 전했으니 얼마나 귀중하고 위대한가! 온갖 악이 판을 치는 이 세상에서 당신이 진선인(真·善·忍)을 견지한 이 성결하고 고귀한 풍모를 글로써 나타내보라. 어떻게 대법의 지도에 따라 수련해 환골탈태의 변화를 일으켰는지, 어떻게 대법의 신기함과 신성함을 목격해 무신론을 타파하고 신의 길을 굳건히 걸어갔는지 등 수련의 길에서 직접 경험한 이야기를 적음으로써, 세상 사람들이 파룬따파가 사람들을 반본귀진(返本歸真: 진정한 자신의 본원으로 돌아감)하도록 이끌어주고 있음을 깨닫게 하고 생명의 진정한 귀로를 찾게 하자. 파룬따파의 위대함을 실증하기 위해, 파룬따파가 자비와 선량함, 사심(私心) 없는 위대한 생명을 만들고, 말세 중생에게 구원받을 기회를 주고 있음을 알리기 위해 글을 쓰자.
우리가 사심 없이 자비롭게 대법을 수련한 경험을 쓰면 간절히 구원을 바라는 사람들에게 구원의 씨앗을 뿌려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파룬따파의 끝없는 은혜와 덕을 예찬하고, 대법 사부님의 위대함을 칭송하며, 대법과 대법 사부님에 대한 우리의 무한한 감사를 표현하고 있다!
더 많은 수련생이 매년 열리는 ‘세계 파룬따파의 날’ 원고모집의 기회와 인연을 소중히 여기고 심혈을 기울여 참여하길 바란다.
이상은 개인적인 인식이니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면 자비롭게 바로잡아주시길 바란다.
[편집자 주: 본문은 글쓴이 개인의 현재 인식에 따라 작성된 것이므로 수련생 여러분이 서로 교류하고 ‘비학비수(比學比修)’ 하는 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문발표: 2023년 3월 19일
문장분류: 수련교류
원문위치:
正體 https://big5.minghui.org/mh/articles/2023/3/19/457898.html
简体 https://www.minghui.org/mh/articles/2023/3/19/45789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