简体 | 正體 | 대법서적

4대 명작 해석(1)

[밍후이왕]

문학은 인류문명의 중요 운반체다. 소설은 더욱이 사람들이 흔히 즐겨보고 듣는 예술형식이다. 수천 년의 문명 세례를 거쳐 풍부한 역사적 풍모와 문화적 정수를 간직한 중국고전소설 ‘수호전’, ‘삼국연의’, ‘서유기’, ‘홍루몽’은 이 중에서 더욱 눈부시다.

인생은 한 막의 극이다. 사실 인간세상도 한 막의 극이다. 전체 인류의 역사, 만조가 되고 간조가 되며, 꽃이 피고 꽃이 지며, 세상의 변화, 조대(朝代)의 교체, 전쟁과 평화도 모두 한 막의 극이다. 사람들은 극 중에서 자신의 역할을 자주 잊고 연극에 몰입한다. 몸이 극 중에 있으나 마음이 극 밖에 있는 사람만이 이것은 확실히 연극이라는 것을 조용히 보아낼 수 있다. 수련에 몰두하거나 ‘도를 수련하지 않으나 이미 도중에 있는’ 사람만이 이 일보에 도달할 수 있다. 그들은 세속을 멀리 떠나 혼자 수련하거나 세상사의 모든 변화를 경험해 마음이 담담하다. 이 일보에 도달한 자는 세상사와 생사를 꿰뚫어 보고 인생을 철저히 깨달은 대덕지사(大德之士)라야 한다. 동시에 그들은 세상을 구한다는 큰 뜻을 품었으나 세인에게 보여주지는 못한다. 천기를 통찰할 수 있으나 말해줄 수는 없으며 정신이 ‘야사(野史)’ 소설에 깃들어 ‘말법(末法)’ 시기의 세인에게 경고한다.

사람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무엇 때문에 현재 ‘말법’에 처했는가? 간단한 것 같은 문제가 끝없는 내포를 간직하고 있다. 대법 법리의 지도로 4대 명작에게 새로운 해석을 해보면 그중에서 일부 답을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4대 명작이 무엇을 표현하려는 지부터 분석해보자.

‘삼국연의’ — ‘의(義)’자 하나가 천고를 관통

‘삼국연의(三國演義)’에서 신전(神傳)문화의 흔적은 아주 많다. 천상변화, 세상사의 변천, 기이한 사람과 사건, 신묘한 지략과 교묘한 계책. 작가 나관중은 백가를 섭렵해 이에 대해 마음속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의 뜻은 거기에 있지 않다. 비록 ‘삼국연의’의 계략을 사람들이 도라고 칭하고 제갈량, 조조, 주유, 사마의, 육손, 강유 등은 귀신이 예측하지 못하는 묘책이 있으며 이런 고인의 지혜는 확실히 책 중의 주제 중 하나지만 책이 표현하려 한 것은 이뿐만이 아니다. 그렇다면 삼국은 역사 이야기인가? 사실 70%에 허구 30%라는 말이 있다. 그렇지 않다. 이것은 소설이지 역사가 아니다. 역사 이야기는 작가가 빌려서 표현하는 도구다. 작가가 표현하는 것은 바로 이야기를 더욱 풍부하고 다채롭게 하며 생동감 있게 하고 감동을 주는 특징—의(義)다.

‘연의(演義)’는 ‘의(義)’를 연출한다는 뜻이다. 책 이름에서 이미 표시했다. ‘연의’는 이미 오늘날 사람이 여기는 소설 장르가 됐다. 그러나 그것의 진실한 본뜻은 책 속에서 각종 인물의 상호 작용을 이용해 ‘의’의 내포를 풍만하게 하는 것이다. ‘의’가 표현한 내포와 이야기 및 인물이 긴밀하게 연결됐다. ‘의’를 제기하면 사람들은 글자의 표면의 뜻만 생각나는 게 아니다. 어떠한 정의도 ‘의’의 내포를 정하지 못하고 작용을 말할 뿐이다. ‘삼국연의’를 통해 사람들은 영원히 생명력과 참조가 있는 ‘의’의 내포를 얻었다. 이런 의미에서 보면 ‘삼국연의’는 인류가 생존을 유지하는 숭고한 품성을 포용했다.

이 점을 알면 삼국의 흥망성쇠, 은혜와 원한, 감정은 말할 거리가 못 된다. 인물의 희로애락, 충효와 반란은 모두 ‘의’를 에워싸고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 고대에는 ‘연의’한 소설이 많지만 ‘삼국연의’와 함께 논할 상대는 없다. 책에는 ‘의’에 대한 주도면밀한 묘사가 많다. 조조의 군영에서 한마디도 하지 않았던 서서는 오직 한 마디로 조운을 구했는데 유비가 베푼 은혜에 대한 ‘의’다. 조조가 원소를 위해 곡을 한 것도 ‘간웅’의 의에 대한 이해와 행위다. 맹획이 ‘칠종’의 은혜로 귀순한 것은 제갈량의 ‘의’에 탄복한 부분이 있다. 정의로운 의인 관우는 ‘의’를 최대한도로 연역했다. 조조는 며칠에 한 번씩 연회를 열고 적토마를 선물하며 그를 정후로 봉했으나 관우는 형을 찾으려는 뜻을 움직이지 않았다. 또 조조의 큰 은혜를 갚지 않고 떠나지 않겠다는 의인의 본색을 드러냈다. 형을 찾기 위해 다섯 관을 넘고 여섯 장수를 베며 혼자 말을 타고 천리 길을 갔다. ‘의’가 이 경지에 이르면 천지를 놀라게 하고 귀신을 울린다고 할 수 있다. 어릴 적에 ‘삼국연의’에서 ‘화용도’를 보고 제갈량이 무엇 때문에 관우를 조운이나 장비와 위치를 바꾸지 않았나 생각해봤다. ‘장비가 화용도를 지켰다면 조조는 반드시 죽었을 텐데.’ 수련 후에야 알았다. 모든 것에는 운명이 있다. 제갈량이 그렇게 배치한 것은 하늘의 뜻에 따라 사람의 일을 행한 것이다. 관우가 조조를 풀어준 것은 관우의 ‘의’를 완성시켜 더욱 풍만하게 했다. 나관중의 책에서 ‘의’의 오묘함을 얻을 수 있다.

필자가 이런 인식이 있게 된 것은 사존 리훙쯔(李洪志) 선생님의 가르침 덕분이다. ‘북미순회설법’에서 리훙쯔 사존은 ‘삼국연의’를 언급하셨다. “『삼국연의』는 하나의 ‘의(義)’를 말했다. 한 조대(朝代)를 지나면서 세 개의 세력이 서로 겨루는 중에서 충분히 ‘의(義)’의 내포를 표현해 냈다. 더욱이 한 조대(朝代)라는 이렇게 기나긴 세월을 지나면서 이 ‘의(義)’의 심층문화를 표현해냈지만, 오늘날 법을 전하게 되어서야 인류는 비로소 ‘의(義)’에 대해 깊은 인식이 있게 됐는데, 무엇이 의(義)이고, 의(義)의 표면 뜻과 내포에서 파생된 상호관계와 심층에 반영된 뜻을 알게 됐다. 사람은 단지 이 글자의 표면 뜻만 알 것이 아니라 내포된 모든 것을 다 알아야 한다. 물론 『삼국연의』 중에서는 사람의 지모(智謀) 등의 내포도 표현했다.”

인류는 여러 차례 문명을 거쳐 오늘날까지 오며 어떻게 조금씩 개선됐는가? 리훙쯔 사존은 ‘북미 순회 설법’에서 “그 어떠한 내포도 없으며, 그 어떠한 감당 능력이 없고, 이 공간의 일체 사물에 대해 인식하는 완전한 사유개념이 없었다. 그렇다면, 사람은 곧 기나긴 세월을 지나면서 사람의 사상이 점차 풍부해지고, 그의 내포와 감당능력이 있게 되는데, 이것은 짧은 시간에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오늘날 사람들의 표현은 일에 부딪혀도 놀라지 않고, 침착하고 냉정하며, 이지적으로 사고하고, 심지어 창조능력도 있다. 사람이 이러한 사상, 정상적인 사유상태를 갖출 수 있는 이것은 기나긴 역사의 세월 속에서 신(神)이 의도적으로 사람들에게 만들어 준 것이다.”라고 하셨다.

사람의 매 한 걸음은 신이 배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중국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은 ‘사람의 목숨은 하늘이 정한다.’라고 말한다. 어찌 사람의 생명뿐이겠는가. 세상의 일체 배치도 다 신의 뜻이다. 이것이 사람의 사상을 풍부하게 하는 것이다.

문장발표: 2013년 8월 7일
문장분류: 천인지간(天人之間)>신전문화(神傳文化)
원문위치: http://www.minghui.org/mh/articles/2013/8/7/277737.html

ⓒ 2024 명혜망.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