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멱진(覓眞)
[명혜망]
1) ‘설문해자(說文解字)’의 유래
중국 문자의 역사는 유구하다. 『역경(易經)·계사(系辞)』와 『여씨춘추(呂氏春秋)』 등의 고전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황제의 사관인 창힐(倉頡)이 문자를 만들어 정통 화하(華夏) 문자의 시대를 열었다. 갑골문, 금문(金文)에서 소전(小篆)까지는 고문 체계에 속하며, 한나라 때 예서(隸書)가 등장하면서 금문(今文) 체계가 시작됐다. 금문과 고문의 차이가 커지면서 사람들은 고문의 본래 의미를 이해하기 어려워졌고 점차 변이가 생겼다. 동한 시대에 이르러 허신(許愼)이 ‘설문해자’를 저술해 한자의 본래 의미를 복원하고자 했으며, 문자의 ‘변란상행(變亂常行, 본래 의미와 용법이 변질되고 혼란스러워져 잘못된 사용이 일상화되는 현상)’을 막고자 했다.
허신의 자는 숙중(叔重)으로, 여남 소릉현 만세리(현재 허난성 인청현 허좡촌) 출신이다. 동한 황궁 서고에서 제주(祭酒)를 맡아 비급(秘笈)을 관리했다.
‘설문해자·서(說文解字·敍)’에서 허신은 문자의 기원을 이렇게 기록했다. “옛날 복희씨가 천하를 다스릴 때, 위로는 하늘의 상(象)을 관찰하고 아래로는 땅의 법(法)을 관찰했다. 새와 짐승의 무늬와 땅의 적합성을 살펴보고, 가까이는 자신의 몸에서, 멀리는 사물에서 취해 팔괘를 만들어 법과 상을 드리웠다… 황제의 사관 창힐이 처음 문자를 만들었는데, 대개 사물의 형상을 본떴기에[依類象形] 이를 문(文)이라 했다. 그 후 형태와 소리가 서로 보태어져[形聲相益] 이를 자(字)라고 했다.” 복희씨는 하늘의 상을 관찰하고 땅의 이치를 살펴 사물 본연의 도리에 따라 팔괘를 만들어 천지만물의 상을 관찰할 수 있게 했다. 황제 시대에 이르러 사관 창힐이 사물의 형상을 본떠 상형문자를 만들었고, 이후 형태와 소리를 겸비한 문자로 발전했다.
하지만 한나라 때 예서가 등장하면서 문자는 이전의 전서에 비해 편리하고 알아보기 쉬워져 오늘날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고 문자의 ‘사물의 형상을 본뜬’ 원형을 잃으면서 문자에 대한 각종 곡해와 잘못된 해석이 퍼지기 시작했다. 허신은 ‘설문해자·서’에서 사람들이 기억하기 쉽도록 만든 순구류(順口溜)인 “말[馬]의 머리에 사람[人]을 더하면 장(長), 사람(人)이 십(十)을 들고 있으면 투(鬥), 충(蟲)은 중간이 구부러진 것”이라는 말이 오류를 전파하며 해악이 매우 크다고 지적했다.
한자의 근원을 추적하고 세상 사람들이 한자에 담긴 진정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허신은 22년의 시간을 들여 상고 문자, 주문(籀文), 전문(篆文) 등을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역대 성현들이 남긴 자료를 바탕으로 9,000여 한자의 유래를 복원했다.
만약 ‘설문해자’가 바로잡지 않았다면, 상주 청동기와 전국시대의 고문, 그리고 후에 출토된 갑골문 등에 담긴 의미를 사람들이 식별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청나라의 훈고학자 주준성(朱駿聲)은 그의 저서 ‘설문통훈정성(說文通訓定聲)·임부(臨部)’에서 “‘설문해자’ 한 권의 공적은 우(禹) 임금에 버금간다”고 말했다. 오늘날까지도 ‘설문해자’는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참고서로, 문자의 본래 의미를 추적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책이다.
2) 한자의 상(象): “위로는 하늘의 상을 관찰하고 아래로는 땅의 법을 관찰하다”
한자는 상형문자지만, 이 ‘상(象)’은 단순히 외형의 윤곽이 비슷한 것만이 아니라 사물의 본질을 담고 있어야 한다. 즉, 사물의 본질적인 규칙을 반영해야 한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위로는 하늘의 상을 관찰하고 아래로는 땅의 법을 관찰하며, 새와 짐승의 무늬와 땅의 적합성을 살펴보고, 가까이는 자신의 몸에서, 멀리는 사물에서 취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나서 “사물의 형상을 본떠 이를 문(文)이라 했고”, 다시 “형태와 소리가 서로 보태어져 이를 자(字)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즉, 한자는 천지 조물(造物)의 내재적 법칙을 드러내고 있다. ‘회남자(淮南子)’에는 창힐이 문자를 만들자 하늘에서 곡식이 내리고 귀신들이 밤에 울었다고 기록돼 있다. 쉽게 말해, 한자의 출현은 “하늘과 땅을 놀라게 하고 귀신을 울게 하는” 큰 사건이었다. 당나라의 유명한 서화평론가 장언원(張彦遠)은 ‘역대명화기(歷代名畫記)’에서 문자의 창조로 조화(造化)가 그 비밀을 숨길 수 없게 되어 곡식을 내렸고, 정괴(精怪)가 그 형체를 숨길 수 없게 되어 귀신들이 밤에 울었다고 설명했다.
왜 창힐은 천지만물의 조화의 묘를 볼 수 있었을까? 역사적으로 창힐이 ‘쌍동사목(雙瞳四目, 네 개의 눈과 두 개의 눈동자)’을 가졌다는 설이 있다. 쌍동사목을 가진 그는 머리를 들어 일월성신의 운행 법칙을 볼 수 있었고, 고개를 숙여 인간 만물의 오묘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창힐은 이를 분류하여 문자로 기록했고, 이것이 최초의 상형문자가 됐다.
역사가 오래되어 ‘쌍동사목’에 대한 정확한 사료는 없지만 수련계의 관점에서 추측해보면, 창힐은 천목(天目)이 열려 신통력을 갖고 있었고 상당한 경지에 이르러 천목을 통해 다른 공간의 진상을 볼 수 있었을 것이다.
허신이 창힐의 문자 창조를 ‘사물의 형상을 본뜬 것’이라고 한 것은, 고차원에서 본 우주의 이치를 사람들이 평소에 볼 수 있고 느낄 수 있는 일반적인 사물과 결합해 표현한 것으로, 일반인의 사고 습관에 부합하여 기억과 전파에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창힐이 만든 상형자에서 이후에 점점 더 많은 글자로 발전한 것은 ‘육서(六書)’의 방법에 따른 것이다. ‘주례(周禮)’에서 ‘육서’를 언급했지만 설명하지 않았는데, 허신이 ‘설문해자’에서 처음으로 육서의 구체적인 의미를 명확히 설명했다. 즉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 전주(轉注), 가차(假借)다. 다시 말해, 한자의 형성과 기능에 대해 ‘설문해자’는 근원을 추적하고 앞을 이어받아 뒤를 열어주는[承上啟下] 저작이다.(계속)
원문발표: 2024년 8월 10일
문장분류: 천인(天人)사이
원문위치:
正體 https://big5.minghui.org/mh/articles/2024/8/10/480631.html
简体 https://www.minghui.org/mh/articles/2024/8/10/48063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