简体 | 正體 | 대법서적

‘4.25’-기회와 선택

글/ 수전(舒眞)

[밍후이왕] 1999년 4월 25일 1만 명이 넘는 파룬궁 수련생이 베이징 중난하이(中南海)인근에 위치한국무원 신방(信訪)사무실로 모여들었다. 톈진(天津)시 경찰이 평화적으로 청원한 45명의 파룬궁 수련생을 공개적으로 구타하고 체포한 사건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수련생들은 이들 체포된 수련생을 즉시 무죄 석방할 것과 파룬궁 서적을 합법적으로 발행할 수 있게 허용할 것, 또 수련생이 파룬궁을 수련할 수 있는 자유를 보장하라고 청원했다. 결국 톈진시 경찰은 수련생들을 석방했고 파룬궁 수련생은 조용히 흩어졌다. 이것이 바로 ‘4.25’사건이다.

‘4.25’ 사건은 이미 12년이 지났으나 몇 가지 특별한 곳은 사람을 감탄케 한다.

1. 중공에게 악행을 벌이지 않을 기회를 주었다

중공은 박해 초기에 하늘땅을 뒤덮는 ‘대심판’에서 파룬궁을 비방하는 동시에 초기에 탄압을 시작한 사실을 ‘시인’했다. 1996년 공안부는 이미 파룬궁에 아무런 근거와 이유가 없이 죄를 가하려 했고 파룬궁 서적 출판을 금지했다. 그 후 1999년 초까지 전국 각지의 수십 개 언론은 파룬궁 비방에 나섰다. 중공의 역대 정치운동을 경험한 사람은 이는 상대를 함몰시키기 전에 흔히 하는 ‘여론선행(輿論先行)’임을 알고 있다.

톈진 사건에서 톈진시 당국은 지방정부이지만 의외로 사태가 확대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파룬궁 수련생이 평화적이고 이성적임에도, 사건을 야기한 언론이 이미 잘못을 시인하고 곧 미봉할 조치를 취하려는 사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갑자기 기세 높이 개입해들었다. 톈진시 당국은 무장경찰을 대량으로 출동시켜 공개적으로 수련생을 붙잡는 한편, 반드시 베이징으로 가야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누설’했다. 중공의 사람을 다스리는 수법을 익히 알고 있는 사람들은 중공이 톈진을 ‘시점’으로 실제로는 이미 파룬궁에 대한 탄압을 시작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런 정황에서 만일 질병을 제거하고 몸을 건강히 하는 일반적인 기공이라면 군중도 쉽게 흩어졌을 것이다. 그 누가 신체를 단련하는 것으로 중공과 같은 사악한 정당을 ‘건드리려’ 하겠는가?

사실 파룬궁은 질병을 제거하고 몸을 건강히 하는데 특효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기공과 전혀 다른 점은 바로 수련자의 도덕적 승화를 첫 자리에 놓는 점이다. 그 도덕의 가늠 표준은 바로 ‘眞ㆍ善ㆍ忍’(진선인)이다. 다시 말해서 톈진사건이 발생한 후 파룬궁 수련으로 수혜를 얻은 민중은 계속해 연공할 수 있는지 여부와 ‘眞ㆍ善ㆍ忍’에 따라 좋은 사람이 될 수 있는지 여부에 직면했다. 바로 전반 중국사회가 ‘眞ㆍ善ㆍ忍’을 가르치는 파룬궁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하는 문제에 직면한 것이다.

진정으로 ‘眞ㆍ善ㆍ忍’에 따라 자신을 요구하는 파룬궁 수련생은 자신의 도덕 경지를 제고하는 동시에 모두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고 있다. 일단 중공이 공개적으로 파룬궁을 박해하면 파룬궁을 수련하는 사람이 우선 공격을 당할 뿐만 아니라 전반 사회도 중공이 좋은 사람을 박해하는 것으로 인해 도덕성 저하가 가속도화 될 것이며 전반 중국사회에 재난을 가져다 줄 것이다. 현재 끊임없이 나타나는 탐오, 부패, 색정, 마피아, 마약 범죄 등 각종 악의 근원을 파보면 모두 도덕성 문제이며 파룬궁을 박해한 이후 갈수록 심해졌다.

그럼당시 가장 필요했던 것은 바로 중공 집권자에게 진정으로 파룬궁의 아름다움을 알게 하며, 중공 집권자가 파룬궁에 대해 갖고 있던 의심과 우려의 마음을 제거해 중공이 악행을 하지 못하게 해야 했다.

그리하여 베이징에 청원하는 것은 가장 자연스러운 선택이었다. 파룬궁 수련생 숫자가 천만단위로 계산되기에 청원 생각을 갖고 있는 숫자도 자연히 많았다. 누가 조직할 필요가 없었으며 너도 가고 싶고 그도 가고 싶어 곧 1만 명의 파룬궁 수련생 평화적인 청원 장면이 나타난 것이다. 그리하여당시 청원은 당국에서 볼 때 소위 ‘단체’행위가 됐다. 청원을 접수하는 기구인 국무원 신방국(信訪局)은 바로 중난하이 서문 인근에 위치했기에 나중에 이번의 청원은 중공의 모함으로 ‘중난하이를 에워쌌다’는 누명을 쓰게 됐다.

지금 돌이켜보아도당시 청원을 간 파룬궁 수련생들의 마음에는 사심이 없었으며 ‘만일 중앙이 정말로 파룬궁을 안다면 파룬궁을 박해하지 않을 것’이라는 선념을 품고 있었다. 중공이 악행을 하지 않게 기회를 제공한 것이다.

2. 선과 악 사이에서의 선택

파룬궁 수련생이 펼친 평화와 이성, 특히 그들이 곧 전면적으로 개시될 박해에 직면해서도 개인의 안위를 돌보지 않고 조용히 중난하이 인근에 있는 신방사무실에 청원을 간 사실, 이 같은 대선대인(大善大忍)의 흉금은 확실히 많은 사람을 감동시켰다. 이들의 정정당당한 언행과 요구에서 중공 최고층 일부 사람들은 파룬궁이 중국 사회, 중국인에게 유익하다는 사실도 확실히 알게 됐다. 결과적으로 톈진 당국은 그날로 모든 불법적으로 체포된 파룬궁 수련생을 석방했을 뿐만 아니라 중공을 대변하는 언론에서도 파룬궁 수련생은 연공의 자유가 있음을 공개적으로 선포했다.

그러나 ‘4.25’이후 각지 공안이 파룬궁 수련생에 대해 교란함이 더욱 잦아졌다. 일부 지역에서는 땅을 쓸어 먼지를 일으키고, 분뇨차로 오물을 뿌리며, 고음확성기 등 방식으로 연공환경을 파괴했다. 일부 지역의 중공 인원은 대놓고 대담하게 연공인을 위협, 구타, 구금했다. 대규모 박해는 피하기 어렵고 단지 늦춰지고 있었을 뿐이었다.

잔혹한 정치운동에 의거해 공포 통치를 유지하고 있는 공산당 정권, 매국노 신분을 감추고 알랑거림을 능사로 득세한 하찮은 어릿광대 배역인 장쩌민, 이들의 본성은 사악함으로 사람을 가늠하고 악으로 사람을 통제하고 선량한 것을 용납하지 못했다. 어릿광대 같은 집권자 장쩌민은 그날 밤 중공정치국에 쓴 편지에서, 파룬궁이 가르치는 마음을 수련해 선(善)을 향함을 자신에게서 민중을 쟁탈하는 것으로 여겼고 파룬궁의 대선대인의 청원을 자신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여겼다. 사당에 광대가 통제하는 중국, 어찌 파룬궁에 대한 박해를 피해갈 수 있었겠는가?

비록 역사는 되풀이 할 수 없으나 우리는 현실과 역사를 비교해 그 중 무엇인가 일깨움을 얻을 수 있다. 12년간의 박해 후 파룬궁이 중국에서의 현황을 살펴보면 파룬궁을 알게 된 사람이 더욱 많아졌고 박해는 갈수록 지탱하기 어려워졌다. 사람들은 파룬궁에 대해 아는 것이 깊어질수록 중공의 사악한 본질을 더욱 똑똑히 보아냈다. 이로부터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것을 가설할 수 있다:

만일 애초에 ‘4.25’에 청원을 간 사람이 만 명이 아니고 십만 명, 백만 명, 천만 명, 억에 달하는 파룬궁 수련생이었다면 전 사회는 즉시 파룬궁을 알게 됐을 것이며 거짓말과 비방은 곧 시장이 없었을 것이다. 중공 혹은 장쩌민이 어떻게 망상했든지 박해는 자연히 없어졌을 것이다.

만일 그때 ‘4.25’ 이후 파룬궁 수련생이 베이징에만 청원을 간 것이 아니고 모든 교란을 당했던 지역에서 모두 대량의 파룬궁 수련생이 지방정부에 공개적으로 청원을 갔다면 필연적으로 이런 지역의 사람들이 파룬궁의 진상을 알도록 촉진시켰을 것이고 그 이후에 중공과 장쩌민이 고집을 부려 악행을 하려 했어도 필연코 층층의 저지를 당했을 것이다.

돌이켜 만일 그때 청원을 가지 않았다면 톈진의 박해 형식―언론에서 비방하고 파룬궁 수련생이 청원을 가며 경찰을 동원해 공개적으로 사람을 붙잡는 것이 곧 전국에서 실시됐을 것이다. 그렇다면 대규모 박해는 3개월이 지나서인 ‘7.20’이 아니었을 것이며 심지어는 대규모 박해가 필요 없이 각지에서 각각 박해를 했어도 중공의 음모는 달성됐을 것이다.

사실, ‘4.25’ 발생을 막론하고 중공과 장쩌민이 두려워하는 것―수천 만 중공당원을 포함한 1억에 달하는 중국인이 ‘眞ㆍ善ㆍ忍’을 신앙하는 사실은 진실로 존재했다. 오직 전반 사회가 파룬궁을 잘 알지 못했기 때문에중공의 사악한 본성, 장쩌민의 소인배 흉금으로 아무렇게나 구실을 만들어 중공 대변인인 언론이 비방, 선동하고 ‘공안, 검찰, 법원’과 군대를 출동하는 박해는 피할 수 없었던 것이다.

파룬궁을 박해하는 것은 사악의 선택이었다. 선량한 자의 소원으로 개변될 수 없었으며 이는 사악한 자가 스스로 벌인 미친 짓이다. 또 중국인 심지어는 전 세계의 재난이다. ‘4.25’청원은 선량한 이의 선택이었다. 사악의 일관적인 표현에 동요되지 않았으며 이는 인류가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일이다. 또한 평화와 이성으로 사악과 포악에 맞선 모범적인 행동이다.

문장발표: 2011년 4월 20일
문장분류: 시사평론
원문위치: http://www.minghui.org/mh/articles/2011/4/20/23931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