简体 | 正體 | 대법서적

소중한 회억, 마음에 새긴 가르침

글 / 광우(光宇)

【명혜망 2002년 11월 6일】 1994년 4월, 여동생은 나에게 “파룬궁이 진저우(錦州)에서 학습반이 열리니 꼭 오세요.”라고 알려주었다. 그리하여 나는 내가 알고 지내던 한 노 비구니에게 “파룬궁이 학습반을 여는데 불법(佛法)을 이야기 한데요. 사찰에 출가하신 지 이미 이렇게 오래되셨는데 불법을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라고 물어보았다. 비구니 스님은 “무엇이 불법인지 들어본 적이 없어서 몰라요.”라고 대답했다. 그리하여 우리는 진저우로 가서 법을 듣기로 약속하였다.

그 날, 마침 어떤 여자가 비구니 스님을 따라 출가하려고 했는데 우리가 학습반에 참가하게 된 일을 모르고 있었다. 나이든 비구니가 “그녀를 어떻게 하면 좋을까?”라고 내게 물었다. 나는 “인연에 맡기시지요.”라고 말씀드렸다. 결국 나의 이 한 마디에 그녀는 우리와 함께 진저우로 가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나는 병이 많았고 후두암 등에 걸린 지 7년이나 되어 갈증을 모르고 살았으며 땀이 나본 적도 없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기차에 올라타자마자 발에서 땀이 나기 시작했는데 그것도 모두 끈끈한 점액이었다. 나중에야 나는 사부님을 만나뵙기도 전에 사부님께서 이미 내 몸을 청리해주시기 시작하셨음을 알게 되었다.

진저우에 도착하여 우리는 학습반을 찾아갔다. 사부님께서 강연대에 나타나시자 내 마음속은 얼마나 격동되었는지 말로는 표현할 수가 없었다. 40여 년이나 소식(素食)을 해온 그 여자분은 내 옆에 앉아서 “전 정말로 관음보살을 보았습니다. 13∼14세 모습에 금으로 된 귀걸이를 끼고 있었는데 장엄하기 이를 데 없어요. 선생님께서 어디까지 강의하시면 거기에 나타나요. 불법(佛法)을 이야기하시면 바로 부처님의 형상이 나타나고 관음을 이야기하시면 바로 관음보살의 형상이 나타나요. 그리고 손으로는 끊임없이 다양한 색깔의 빛발을 내보내고 있어요. 눈꽃 같은 파룬(法輪)들이 온 마당에 가득해요.”라고 말했다.

나이 든 이 거사는 출가하면 관음보살을 볼 수 있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다. 아마도 신불(神佛)이 그녀에게 대법과 인연을 맺으라고 점화해준 것 같았다. 나중에 그녀는 나에게 “나는 출가하지 않을 겁니다. 파룬궁만 전일하게 수련할래요. 선생님은 부처님이에요. 중생을 널리 제도하러 오셨어요.”라고 말했다.

좋은 인연이 맺어지면 집이 곧 절이된다. 부처님께서 오시어 널리 제도하시니 금광대도(金光大道)였다. 제2강의를 다 듣고나서 함께 온 비구니 스님은 선생님께서 강의하신 내용이 불법수련임을 알게 되었다. 자신은 출가한지 이미 여러 해 되었지만 자신이 어떤 법문을 수련하는지 조차도 모르고 있었음을 알게 되자 자신도 모르게 울음을 터뜨리고 말았다. 제일 마지막 강의가 끝난 후 수련생들은 쪽지를 제출했고 사부님께서는 수련생들에게 문제를 해답해 주셨다.

비구니 스님이 계속 울고 계셨기 때문에 나는 더 이상 기다릴 수 없어서 선생님께 문의드리러 갔다. 당시에 사부님께서는 강단 우측의 쇼파에 앉아 계셨으며 따뜻한 눈길로 나를 바라보고 계셨다. 나는 사부님 앞에까지 걸어가서는 “선생님, 한 비구니가 왔는데 그녀는 어찌 할지 몰라서 울고 있습니다.”라고 말씀드렸다. 사부님께서는 “당신이 가서 그녀에게 모두 같다고 알려주세요.”라고 말씀하셨다. 내가 막 가려고 하자 사부님께서는 “가서 그녀를 데리고 오세요.”라고 말씀하셨다.

나는 스님을 찾아 강연대 문 앞까지 걸어갔다. 아직 그만큼 거리가 떨어져 있었지만 노스님은 황망히 무릎을 꿇고 절을 올렸는데 눈에서는 구슬 같은 눈물이 흘러내렸다. 사부님께서는 급히 다가오셔서 스님을 부축하여 일으켜 세우시면서 “이러지 마세요.”라고 말씀하셨다. 그리고 스님을 부축하여 쇼파에 앉히셨다. 스님은 격동되어 말을 하지 못하다가 “저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라는 한 마디만 하였다.

사부님께서는 무한히 자비롭고 상냥한 눈길로 강단을 가리키시며 그녀에게 말씀하셨다.”모두 여기에 있어요. 관음보살도 석가모니도 모두 여기에 있답니다.” 노 스님은 사부님의 이 말씀을 듣고나서 마음으로 기쁘기 한량없었다. “원래는 이런 것이구나. 천상의 신불(神佛) 모두 사부님을 도와 법을 전하고 사람을 제도하는구나!” 노 비구니는 자신이 사부님의 가르침을 들을 수 있었음을 행운으로 여겼고 자신이 불가대법을 얻을 수 있음을 행운으로 여겼다. 이 얼마나 큰 조화인가!

어느 날 강의가 끝난 후 마침 저녁 9시였다. 우리는 뒷줄 좌석에 앉아 있었으므로 먼저 나왔다. 밖에는 비가 내렸는데 크지도 작지도 않은 비였다. 학습반을 멀리 걸어 나가 뒤돌아보니 사부님께서 어느새 뒤에서 걸어오고 계셨다. 그리하여 큰 소리로 “선생님이 아니십니까?”라고 했는데, 사부님께서는 내 목소리를 들으시고는 고개를 돌리시더니 미소를 머금고 우리를 향해 손을 흔들어주셨다. 나는 빗속에서 멀어져 가는 사부님의 뒷모습을 보면서 이곳의 수련생들을 원망했다. 왜 사부님께 차를 준비해드리지 않았는가? 어떻게 사부님께서 비를 맞고 걸어가시게 한단 말인가? 다른 기공사들이 공을 전할 땐 모두 차로 모셨지만 우리 사부님께서는 그렇게 하지 않으셨고 비를 무릅쓰고 걸어 다니셨다…….

매번 내가 이 한 단락의 잊지 못할 경력을 회상할 때마다 출가인, 승려, 도사, 그리고 사회상의 일부 거사들을 늘 생각하게 된다. 알아야 할 것은, 파룬따파(法輪大法)는 우리가 수련하여 돌아갈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이라는 것이다! 천만년의 기다림은 바로 오늘에 달렸으며 기연은 절대로 잃어버릴 수 없다.

문장발표 : 2002년 11월 6일

문장분류 : 중국소식
문장위치 : http://minghui.org/mh/articles/2002/11/6/39171.html

ⓒ 2025 명혜망.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