简体 | 正體 | 대법서적

법속에서 자신을 바로 잡고 사람을 많이 구하다

글/ 랴오닝 대법제자

[밍후이왕] 이전에도 안으로 찾아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모순을 만났을 때 어떤 때는 잘 파악하고 화를 내지 않을 수 있었다. 속으로 흐뭇하니 매우 좋았다. ‘나는 또 고비를 하나 넘겼구나.’ 어떤 때는 파악하지 못하고 화를 냈다. 그리고는 후회하며 속으로 묵묵히 결심을 내린다. ‘다음에는 반드시 고비를 잘 넘기리라.’ 이렇게 하루 또 하루 시간이 오래되자 괜찮게 수련했다고 여겼다. 대부분은 참아냈고 다른 사람과 다투지 않고 용서할 수도 있었다.

그런데 본질상 문제를 소홀히 했는데 바로 참음이었다. 마땅히 수련인의 화나지 않고 미워하지 않으며 억울함이 없는 그런 참음이어야 했다. 그런데 나는 어떤 때는 참는 게 매우 고생스럽고 괴롭다. 이는 곧 문제가 있는 것이다. 안으로 찾아 무슨 마음이 자신을 괴롭게 했는지 원인을 찾아냈다. 결과 피부에 오늘 작은 트러블 몇 개가 나타나고 한동안 지나면 또 무슨 문제가 좀 나타났는데 모두 매우 작았다.

올해 수련생의 교류문장을 자주 보면서 갑자기 자신의 누락이 작은 것이 아님에 놀랐다. 원인을 잘 찾아보고 착실하게 자신을 수련해야 했다. 나는 집착을 찾았는데 바로 쟁투심이었다. 즉시 바로 잡았다. 언행을 주시하면 그것은 도망가지 못한다. 그것을 제거했다. 남편이 또 나를 욕하고 훈계할 때 나는 평화롭게 참을 수 있었는데 진정한 수련인 같았다. 몇 번이나 남편은 나에게 그랬지만 나는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화가 가라앉았다. 한번은 고객 앞에서 나를 비꼬고 나에게 마구 소리를 질렀다. 나는 거의 마음을 내려놨지만 여전히 고개를 돌려 그들의 표정을 살펴봤다. 나는 속으로 웃었다. ‘왜 고개를 돌리지? 역시 집착하는 물질이 조금 있는데 완전히 닦아 버리지 않은 것이다.’ 나는 경각했다. ‘그것들은 존재하지 말아야 한다.’

심성상의 제고로 인해 우리 집의 수련환경도 호전됐다. 남편과 아이들은 모두 대법의 편에 서서 말을 하고 내가 법공부하고 수련하고 대법제자가 해야 할 일을 하는 것을 지지했다.

최근에 깨달은 것은 수련생 또는 속인이 결점과 흠을 지적했을 때 자신을 도와 바로잡는 것이다! 소중하고 선한 행위다.

한번은 나와 협력하는 수련생이 나에게 위생과 복장 방면에 주의해야 한다고 제출했다. 나는 즉시 받아들이고 바로 잡았다. 나는 생각했다. 만약 내가 꾀죄죄하다면 바로 당(黨) 문화의 그림자가 아닌가? 우리는 대법 속의 하나의 입자다. 마땅히 무조건 대법에 동화해야 한다. 대법의 바름과 아름다움을 표현해야 한다. 그리하여 수련생이 지적한 문제를 법공부하고 마음을 닦는 과정에서 하나하나 바로 잡았다. 그 후 주변 환경도 따라서 개선됐다. 이전의 첨예하고 건드리면 안 되는 물건이 작아지고 적어졌음을 발견했다. 나와 수련생 사이에는 간격이 없어졌다. 오직 법속에서 자신을 바로잡고 승화해야만 우리의 환경이 바른 방향으로 변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런 변화는 진상을 알리는 데에도 반영됐다. 중생들이 내 손에서 진상자료를 받고 “나도 한 권 주세요.” “나도 한 권이요.”라고 외치면서 얼굴에 나타나는 그런 신임의 표정에 정말로 충격을 받았다. 눈물도 솟아 나왔다. 내심 우러러나서 외쳤다. ‘제가 늦게 바로 잡았습니다. 늦어서 당신들의 구도를 지체했습니다.’

그 후의 나날에 인연 있는 사람을 만나면 몇 마디만 하면 상대방은 재빨리 삼퇴에 동의했고 떠날 때 진정으로 말한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진짜로 깨달았다. 중생이 구도되는 많고 적음은 우리가 바로잡는 정도, 대법에 동화되는 정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을.

대법제자로서 우리는 대법 정체(整體) 중의 하나의 입자이다. 우리 수련생들 사이에는 간격이 없다. 수련 중에서 우리는 안으로 찾고, 항목에서 협력을 잘해서 중생을 구도하는 역사적 사명을 완성하고 원만해 사부님을 따라 돌아가자!

타당하지 못한 곳은 수련생 여러분께서 자비로 시정해주시기 바란다.

 

원문발표: 2018년 10월 7일
문장분류: 수련교류>정법수련마당>수련체험>심성제고
원문위치: http://www.minghui.org/mh/articles/2018/10/7/37546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