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대륙대법제자
【명혜망 2006년 6월 4일】 법학습을 해도 졸리고, 연공을 해도 졸리고, 발정념을 해도 졸리는 등 한동안 ‘졸음(困)’이 늘 나를 교란했다. 나는 또 이런 현상이 일부 동수들에게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발견했다. 때문에 나는 오늘 내가 겪은 약간의 경험을 적어 동수들과 공동으로 교류하고자 하니 부족한 곳이 있다면 바로 잡아주기 바란다.
오늘 책을 들고 법학습을 하는데 3페이지도 못 읽어 졸리기 시작했다. 눈이 자꾸만 감겼고 정신도 흐릿해졌다. 억지로 정신을 차려도 단지 몇 글자 읽고는 다시 졸려왔다. 생각해보니 이는 사악이 나의 법학습을 교란하는 것이니 반드시 그것을 타파하고 정신을 차려야 했다. 나는 계속 법학습을 했다. 그러나 몇 단락 읽지 않아 또 졸음이 쏟아졌다. 나는 또 내가 앉은 자세가 단정하지 못하고 사부님과 법을 공경하지 않아 법학습을 할 자격이 없기 때문에 사악이 틈을 타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 빨리 자세를 바로 잡고 다시 법을 학습했다. 무릎을 꿇기도 하고 바르게 앉아도 보고 결가부좌도 해보고 여러 차례 자세를 바꿨지만 그래도 몇 초만 지나면 또 졸음이 쏟아졌다.
이렇게 반시간이 지났지만 나는 겨우 몇 페이지 밖에 보지 못했다. 이에 나는 책을 내려놓고 발정념을 했고 청리한 후 다시 학습하리라 생각했다. 그러나 발정념을 할 때도 흐리멍덩해졌고 정념이 제대로 작용을 발휘하지 못했다. 이때 나는 마음속으로 또 조급해졌고 괴롭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간은 일분일초 흘러갔지만 도무지 법공부에는 진전이 없었고 나는 울고 싶었다. 하지만 생각을 바꿔보니 내가 운다고 해서 해결될 문제도 아니라 억지로 참는 수밖엔 없었다. 배우고 또 배워도 머릿속엔 아무것도 들어오지 않았고 그렇다고 법학습을 포기하고 사악이 마음대로 하도록 내버려두고 싶진 않았다.
바로 이때 갑자기 사부님의 말씀이 떠올랐다. ‘수련인이 문제에 부딪쳤을 때 관념을 바꿔야하며 문제에 부딪히기만 하면 나쁜 일이라고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수련 중에서 어떤 문제를 만나든 그것을 모두 좋은 일로 여겨야 한다. 왜냐하면 대법을 배우기에 이런 일에 부딪친 것이기 때문이다. 모두 수련 과정 중의 것으로 교란이라도 좋고 곤란이라도 좋은데 모두 넘길 수 있다.’
생각이 여기까지 이르자 마음이 좀 편해졌다. ‘아 이것은 좋은 일이 아닌가.’ 관념을 바꾸자 그렇게 고통스럽지 않았고 정신도 더 맑아졌다. 이에 계속 법을 학습했는데 몇 페이지도 못가서 또 졸리기 시작했다. 막 잠이 들려는 상태로 한 시간을 버텼다. 도대체 무슨 문제를 찾아내지 못했을까? 사악이 아직 틈을 타고 있을까? 자세히 생각해보니 ‘아, 그래. 어제 나는 분명 피곤하지도 않았고 법공부할 시간이 있었지만 안일을 구하는 마음에 잠에 빠져 법학습을 하지 않았구나.’ 그러니 사악이 “당신이 자고 싶으면 잠을 자게 하면 그만이다.”라고 틈을 탄 것이다. 마치 원인을 찾은 것 같았는데 마음속으로 반드시 자신을 바로 잡아야하며 사악이 계속 교란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때 정신이 좀 들었다.
이어서 계속 법학습을 했지만 몇 페이지 못 가서 또 졸렸다. 주의식이 약간의 정념을 가지고 있는 외에 나는 거의 잠에 빠질 뻔 했다. 나는 있는 힘을 다해 머리를 흔들며 생각했다. ‘내가 인간 세상에 온 것은 대법에 동화하여 대법을 실증하고 사부님을 도와 정법하고 중생을 구도하기 위한 것이지 이곳에 와서 교란 받고 박해받으러 온 것이 아니다. 이런 사악한 요소들을 깨끗이 제거해야 한다.’라고 생각했다. 이때 좀 청성해졌고 졸리지 않게 되었다.
나는 계속 법공부를 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또 졸렸다. 나는 이미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몰랐다. “어떻게 해야 돌파할 수 있단 말인가?”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다가 갑자기 마땅히 사부님께 도움을 청해야 한다는 생각이 떠올랐다. ‘그래 맞아, 사부님께 도움을 청하자.’ 잠시 후 머리는 과연 아주 청성해졌다. 나는 비할 바 없이 격동되었다. 시간이 이미 많이 지나 나는 마음을 굳게 먹고 다그쳐 법공부를 했다.
얼마 정도 지나자 또 졸려오기 시작했다. 정말로 졸려 죽을 지경이었는데 어찌 된 일일까? 나는 정말 흐릿해졌다. 사실 자신에게 어떤 문제가 있는지 찾아내지 못한 것이 아닌가. 과거의 나였다면 진작에 어쩔 수 없으니 좀 자고 나서 다시 법공부를 했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 나는 이렇게 포기하고 싶지 않았다. 비록 문제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는 없었지만 나는 이 시간을 헛되이 보내고 싶지 않았다. 이때 이미 1시간 반이 지나 있었다. 나는 마음속으로 아주 고달프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렇게 허비할 수는 없다. 나는 대법제자이다. 이렇게 피동적일 수는 없고 무언가 해야 한다.’
이때 사부님의 말씀이 떠올랐다. “그때 냉(冷)에 대해 나는 별도의 방법이 있었다. 나는 이렇게 생각했다. ‘당신이 춥게 하려는가, 당신이 나를 춥게 하려고 하고 당신이 나를 얼게 하려고 하잖은가? 나는 당신보다 더 추우며, 내가 당신을 얼려 버리겠다.’”(『2003년 정월대보름 설법』)
나는 사부님을 따라 사악에게 다음과 같은 일념을 내보냈다. ‘당신이 나를 졸리게 하는가. 내가 반대로 당신을 졸리게 하겠다. 나는 당신을 졸려서 어쩔 수 없게 하는데 내가 당신을 나보다 더 졸리게 하겠다.’ 이렇게 생각하자 정신이 좀 들었다. 이에 이 일념을 더 강화하자 많이 좋아진 느낌이 들었다.
나는 다그쳐 법공부를 했지만 얼마 후 또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졸려왔다. 나는 한 손으로 책을 들고 다른 한 손으로 다리를 꼬집으며 생각했다. ‘아프게 하면 그래도 졸리지 않을 것이다.’ 이렇게 억지로 2페이지를 보았다. 그런데 좀 타당하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 대법제자로서 어찌 교란과 박해 때문에 자신을 상하게 할 수 있단 말인가? 대법제자의 일체는 대법이 부여한 것이고 사부님께서 주신 것으로 여기에는 사람의 육신도 포함한다. 내가 어찌 내 몸을 소중히 여기지 않을 수 있겠는가? 어찌 ‘고통’으로 ‘피곤’을 감당하게 할 수 있는가? 이는 악으로 악을 다스리는 것이 아닌가? 이는 이지적이지 못한 표현이 아닌가?‘ 나는 당장 중단했다. 고개를 들고 등을 기댔지만 졸음에 두 눈이 감겨왔다. 마치 ‘법공부를 해야 해, 법공부를 해야 해….’하는 한 가닥의 염두만 남아 있는 것 같았다.
이때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무의식중에 손에 들린 대법서적을 보았다. 갑자기 책 속의 ‘강대(强大)’라는 두 글자가 내 온몸을 진동시켰는데 마치 단번에 무언가 명백해진 것 같았다. 나는 즉각 생각해보았다. ‘나는 신우주의 대법표준에 따라 수련하는 대법제자이다. 비록 내가 아직 수련에 부족한 곳이 있긴 하지만 신우주의 표준에 따라 자신을 요구하기에 미래는 아름다운 것이다. 그러나 당신은 아무런 희망도 없는 구우주의 과거에 따라 사라질 뿐 미래가 없다. 그럼 곧 도태된 구우주 속의 생명이 신우주의 일체를 가로막을 수 있단 말인가? 신우주의 대법은 강대한 것이 아닌가?’
나는 이때 온몸이 순간적으로 편안해짐을 느꼈고 자신이 비할 바 없이 강대하게 여겨졌다. 무수한 음성(陰性)물질이 밖으로 달아났는데 나는 사부님께서 나를 도와 몸을 청리해주셨다는 것을 알았다. 이렇게 완전히 청성해졌고 뒤이어 책을 한 강 읽을 수 있었다.
이번에 ‘졸음’을 돌파한 과정을 돌이켜보니 시간은 2시간이 좀 넘게 지났다. 그러나 내 느낌에 아주 오랜 시간의 시달림 끝에 사부님의 점화로 넘어갈 수 있었다. 내가 깨달은 것은 다음과 같다.
하나는 사부님께서 우리를 도와 일체를 해주시만 우리가 표준의 요구에 도달할 수 있는가를 보시며 또 이를 통해 우리에게 자신의 수련 중에서 깨달은 후 제고할 기회를 주신다는 것이다.
둘째 사부님께서는 또 제자에게 일체 능력을 구비해 주셨지만 단지 많은 경우 우리의 씬씽이 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해 대법의 강대한 위력을 완전히 펼쳐낼 수 없을 뿐이다. 때문에 우리는 끊임없이 법학습을 잘해야 하며 계속 제고해야 하고 수련 제고할 기회를 회피하지 말아야 한다. 이 과정 중에서 얼마나 괴롭든지 막론하고 지나간 후에 돌이켜보면 정말로 ‘유암화명우일촌(柳暗花明又一村)’이다.
문장발표 : 2006년 6월 4일
문장분류 : 수련마당
원문위치 : http://minghui.org/mh/articles/2006/6/4/12955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