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후이왕]만약 ‘삼국연의’가 하나의 ‘의(義)’로 천고를 관통하고, 후세에 ‘의’의 내포가 무엇인지를 알려주며, 심층 문화를 표현해 사람들의 사상을 풍부하게 했다면, 그럼 ‘수호전’은 생동감 있는 강도 무리를 그려내 ‘도둑질에도 도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었다.창녀에게 ‘열녀문’을 세워줄 수는 없다. 마찬가지로 강도들에게 ‘공덕비’를 세워줌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바로 이런 강도들에 대해 수백 년 동안 전해 내려오는 민간 이야기가 민중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그렇다면 왜 강도들에게 이런 ‘공덕비를 세워주는’가? 이 속의 역사적 연원은 무엇인가? 설마 후세인들에게 이런 강도들의 행위를 본받게 하려는 것인가? 우리는 이 문제에 대해 두루뭉술하게 답할 수 없다.
한번 각도를 바꿔 생각해보자. 사람이란 선악(善惡)이 함께 존재하며 이는 상생상극의 이치가 독립적 개체인 사람 몸에서 반영된 것이다. 상생상극은 일체를 제약하며 일체는 또 상생상극의 이치를 나타냈다. 수련의 각도에서 보자면 사람에게는 불성(佛性)과 마성(魔性)이 있는 것으로 인간세상에서는 또 선과 악, 좋고 나쁨으로 표현된다. 단지 사회도덕과 윤리가 사람들에게 각자 ‘악을 억누르고 선을 발양’하도록 요구할 뿐인데 이렇게 해야만 비로소 사회가 안정되고 조화로우며 각자 자신의 일을 편안히 할 수 있다. 반대로 인류의 부패는 매 사람에게 해악을 끼치기 마련이며 인류의 죄악은 사람들에게 아주 빨리 자신을 도태되게 만든다. 중국 고대에는 아주 내포가 깊고 철리(哲理)가 상당히 깊은 ‘천인합일(天人合一)’ 우주관이 있는데 이는 사실 인생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기왕 ‘악(惡)’이 사람이 본래 갖고 있는 것이라면 사람이 사회에서 생활하는 중의 일체는 모두 선악과 긴밀한 관련이 있다. ‘악을 억누르는’ 것은 필연적이며 이는 도덕적인 면에서의 요구다. 단지 ‘악’만을 말한다면 역시 악으로 악을 제약하는 내포가 있다. 그렇다면 ‘악’의 표현은 또 필연적인 것이다. 이성을 지닌 사람에 대해 말하자면 ‘악’이 표현될 때에도 근거할 것이 있어야 한다. ‘성(聖), 용(勇), 의(義), 지(智), 인(仁)’은 전국시대 강도의 대명사인 도척이 후대에 남긴 강도의 ‘도(道)’이다. 강도의 ‘도’를 벗어나면 사람들은 ‘악’해지기 시작하며 곧 따를 ‘도’가 없게 된다. 이 의미에서 수호전 중의 강도 이야기가 전해진 것은 골목 백성의 마음속 깊은 곳에 ‘강도’에 대한 승인과 수용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의로운 강도는 이렇게 사람들의 영혼 깊은 곳에서 광범위한 생존 공간을 찾아냈다.
사람은 이성적인 동시에 아주 복잡한 존재다. 어떤 때는 사물에 대해 마음속으로 받아들이는 것과 실제 현실 사이에 아주 큰 차이가 난다. 사람들이 이규(李逵)의 천진하고 솔직하며 지극히 효성스런 것을 받아들이면 그가 사람을 죽이고 겁탈하며 인육(人肉)을 먹을 때 이미 더 이상 이규의 인성이 어떠한지, 왜 사회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지 따지지 않게 된다. 십자파(十字坡)의 장청(張靑)과 손이낭(孫二娘)의 의협(義俠)도 사람들 마음속에서 인육 작업장의 죄악을 덮어 갚춘다. 왜각호(矮腳虎) 왕영(王英)의 호색함, 고상조(鼓上蚤) 시천(時遷)의 도둑질 등은 ‘호걸’들의 의리를 풀어내기 위한 양념에 불과하다. 이처럼 각도를 달리해서 보면 왜 이런 사람들을 위해 ‘공덕비’를 세워주는지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왜냐하면 이 또한 인류가 생존하고 발전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이며 사람의 ‘악’ 역시 사람과 마찬가지로 표현되어 나오기 때문이다.
잘 다스려지고 안정적인 사회에서라면 이렇게 많은 강도들이 나타날 수 없다. 그러나 ‘관(官)에서 핍박해 백성들이 반항’한다는 것은 아주 이치가 있다. 인류는 바로 이렇게 발전한 것으로 일어나고 몰락하며 흥망하고 쇠퇴한다. 강도가 나타나는 환경은 반드시 어지러운 난세(亂世)로 혼란한 조정의 기강이야말로 강도들이 생겨나는 온상이다. 사람들이 탐관오리를 아주 미워하는 것은 일정 정도 민중의 마음속에서 일으킨 반항이다. 이런 의식의 표현이 바로 그들의 마음속에서 ‘호걸’이 백성을 위해 폭력을 제압하고 선량한 백성들을 보호한다는 것이다.
‘호걸’들이 무협과 의리를 행하는 방식은 단지 ‘악으로 악을 제거’할 수 있을 뿐이다. 사람들의 ‘강도’에 대한 정의는 이미 자연적으로 ‘호걸’을 연역해냈다. 이 책의 저자 시내암(施耐庵)이 강도들을 그려낸 본의는 긍정적인 묘사방법을 통해 사람들의 마음속 ‘악’을 규범 하는 동시에 정치를 담당한 자들에게는 경계로 삼게 하며, 또한 사람들 마음속에 강도에 대한 완전하고 풍부하며 분명한 개념을 심어주기 위한 것이다. (계속)
문장발표: 2013년 8월 8일
문장분류: 천인지간(天人之間)>신전문화(神傳文化)
원문위치: http://www.minghui.org/mh/articles/2013/8/8/277736.html